스팸(보이스피싱)번호 검색
« 2024/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위기 이후 BRICs의 네 가지 변화

■ 경제보고서 ■ | 2009. 7. 16. 16:18 | Posted by 중계사

LG경제연구원 '위기 이후 BRICs의 네 가지 변화'

 

이번 글로벌 경제위기를 계기로 BRICs 경제는 몇 가지 구조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자본 의존형 고성장세가 둔화되고 수출중심 성장 정책의 수정이 진행중이며 그동안 외면했던 녹색성장 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질 전망이다.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가 조금씩 진정되어 가는듯한 신호들이 나타나면서 위기 이후 세계경제에 어떤 변화들이 나타날 것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계경제 주도권의 향방, 성장방식의 변화, 국제 금융질서 재편, 승자와 패자 등 궁금증의 스펙트럼도 상당히 넓다. 물론 이번 위기가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일시적인 충격에 그칠 것이라는 시각도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경제 위기가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 역시 세계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멀리 산업혁명이나 대공황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더라도 1, 2차 오일쇼크와 1980년대 중남미 외채위기, 1990년대 후반의 아시아 외환위기, 2000년대 초 미국의 닷컴 버블 붕괴 등이 좋은 예다. 오일쇼크를 계기로 유럽 각국이 에너지 효율 개선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고, 외채위기 재발을 막기 위해 중남미 국가들이 재정건전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시아 기업들이 재무건전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미국 투자자들이 굴뚝 기업과 같은 전통적 산업의 가치를 인정하게 된 것도 큰 어려움을 통해 배운 교훈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도 그 동안 드러난 문제점들을 바로잡고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BRICs, 공동 보조로 더 강해질 전망 
 
이번 위기 이후 BRICs로 대표되는 신흥경제권의 경제상황이 각국별로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에 대해서는 지난 몇 차례의 LG Business Insight 리포트를 통해 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1019호(브라질), 1020호/1030호/1034호(중국), 1042호(BRICs 장기 전망), 1045호(러시아), 1046호(인도) 참고] 그러나 최근 세계경제 무대에서 감지되는 BRICs 국가들의 정치, 경제적 중요성 확대를 고려할 때 BRICs에서 나타날 변화들은 과거와 달리 개별 국가 사안 이상의 의미를 가질 것으로 관측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바이오 에탄올에 대한 브라질의 관심이 한 나라 에너지 정책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려웠지만, 그린뉴딜이나 환경표준 등의 문제에 대해 BRICs 4개국이 공동 보조를 취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그 합의 결과가 세계경제에 주는 의미와 파장은 예상보다 훨씬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위기 이후의 새로운 변화들이 가져올 파장과 그 의미를 BRICs 전체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세계경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요 변화들과 BRICs 4개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관심을 갖고 추진하는 정책들을 살펴본 결과, 기업들이 향후 세계경제 성장 패턴을 전망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변화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세계경제 성장, BRICs가 주도한다 
 
첫째,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BRICs 국가들의 기여도가 늘어나면서 글로벌 무대에서의 경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IMF가 발표한 실적치와 LG경제연구원이 추정한 전망치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위기 발생 전 5년 간 이뤄진 전세계 경제성장에서 BRICs가 기여한 비중은 38.1%로 선진권의 기여도 32.8%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위기 후 5년간은 선진권이 18.7% 기여에 그친 반면, BRICs의 기여도는 53.3%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그림 1> 참조). 다시 말해 향후 5년간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전세계 총생산의 절반 이상이 BRICs 4개국에서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최근 다른 여러 연구기관과 국제기구들이 내놓은 전망도 이와 비슷한 입장이다. 위기의 해법이나 극복 전망에 대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지만, 선진권과 BRICs 사이에 경제 회복 속도의 차이가 클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거의 이견이 없다. 미국, EU, 일본 등 선진권은 올해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하고 내년에도 빠른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반면, BRICs 국가들의 경우, 비록 과거에 비해서는 성장세가 부진하겠지만 선진권보다는 상대적으로 둔화 폭이 적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중국, 인도 등은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서도 4~7% 대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그 결과, 선진권 국가들은 2011~2012년경에나 2008년 수준의 GDP 규모를 회복하겠지만 신흥경제권은 올해와 내년에도 계속해서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여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도 역시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 BRICs의 글로벌 위상 확대 
 
이처럼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BRICs의 기여도가 커지면 자연히 BRICs 국가들의 경제적, 정치적 지위도 높아지게 마련이다. 절대 규모 면에서는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높지만 추가적인 성장, 즉 새로운 고용과 생산을 유발할 수 있는 경제 활력 면에서는 BRICs 국가들의 기여도가 압도적으로 높아 신규 투자를 비롯한 중요한 경제적 의사 결정의 주도권이 자연스레 이 나라들로 흘러가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신흥경제권 국가들이 국제무대에서 보여주는 모습들은 이런 추측을 뒷받침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BRICs 4개국 정상은 지난 6월 16일 러시아에서 열린 제 1회 BRICs 정상회담을 통해 신흥국의 위상 강화와 국제금융 시스템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향후 국제 사회에서 경제규모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기도 했다.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BRICs 국가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축통화 문제가 언급될 것이라거나 향후 환경 협약이나 기술 표준 수립 과정에서도 BRICs 국가들의 공조가 강화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2. 해외자본을 토종자본이 대체한다 
 
둘째, 개도국 경제는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감소와 기업들의 글로벌 인수합병(M&A) 위축으로 국내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과거에 비해 훨씬 커질 전망이다.  
 
지난 10년 간 세계경제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요소투입 측면의 특징은 FDI를 비롯한 해외자본의 적극적 이용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신흥시장에 대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신용공급은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크게 위축되어 있었다. 지난 1980년대에 미국과 유럽 주요 은행들을 악몽으로 몰아 넣었던 중남미 발 외채위기의 후유증 탓이다. 그러나 그 결과로 선진권과 개도권의 금리 격차가 커지면서 90년대 중반부터는 다국적기업(Transnational Company, TNC) 중심의 해외직접투자(FDI)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유수의 다국적기업들이 자사의 높은 신용도와 풍부한 사업 경험 등을 앞세워 선진권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신흥시장에 대한 공격적인 직접투자와 M&A에 뛰어들었고, 글로벌 투자은행(Investment Bank, IB)들이 그 뒤를 이어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투자에 나섰다. 결과적으로 이 전략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세계경제 무대에서 다국적기업과 글로벌투자은행들의 입지가 높아졌고, BRICs 4개국 경제 역시 유례 없는 고성장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식의 성장 패턴이 다시 반복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위기를 계기로 국제금융시장 여건이 달라지면서 해외직접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금융기관들의 디레버리지 확산으로 글로벌 유동성의 절대 규모가 줄어드는데다, 해외직접투자를 위한 자본 조달 측면과 기대 수익 측면 모두 부정적인 요소들이 더 많이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2008년 초 대비 크게 하락해 있는 주식시장과 기업들의 실적 전망 악화,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초과 생산 설비의 구조조정 지연 등 넘어야 할 산이 너무도 많은 상황이다. 더군다나 FDI가 줄어들면 그 뒤를 따라 함께 움직이는 포트폴리오 투자 역시 줄어들 수밖에 없다.  
  
· 글로벌 FDI와 M&A는 이미 크게 감소 
 
UNCTAD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FDI 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 해외직접투자 유입 규모는 2008년 3분기부터 이미 크게 줄어들고 있다(<그림 2> 참조). 일반적으로 해외직접투자는 연말에 늘어나는 계절적 특성을 갖고 있지만 지난해 말 4분기에는 3분기 2,710억 달러에 비해 25%나 감소한 2,060억 달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고, 올해 1분기에는 작년 동기 2,940억 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360억 달러에 그쳤다. 글로벌 M&A 규모는 더욱 가파르게 감소해 2008년 1분기 2,470억 달러에서 올 1분기에는 1/4을 밑도는 568억 달러로 줄어들었다.  
 
이처럼 해외로부터의 자금 유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향후 BRICs 국가들은 경제 성장에 필요한 자본 확충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그 결과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글로벌 금융시장이나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자금이 유입되지 않으면 국내 자본에 의존해야 하는데, 과거의 빠른 성장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국내 자본 토대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해외자본 유입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경제성장에 대한 생산요소의 기여도는 노동과 자본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데 지난 10년 간의 고성장 기간 동안 노동증가율이 자본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고, 특히 고급 인력들을 중심으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임금이 급등하면서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많이 낮아진 상태였다(<그림 3> 참조). 하지만 이번 위기로 노동시장의 수급 상황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초과수요가 심각했던 부문들을 중심으로 임금 상승세가 꺾이고 있어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어느 정도 회복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긍정적 유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감안할 때 노동시장 변화나 투자유치를 위한 제도 개선 등 수요 측면의 변화만으로는 공급 측면의 감소 압력을 이겨내기 힘들 전망이다. 
  
3. 국토균형 발전 계획으로 내수시장 살린다 
 
셋째, BRICs 국가들의 소외 지역 개발 확대, 정부의 적극적인 소득 정책 등에 힘입어 내수관련 산업과 시장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BRICs 각국 경제가 보여준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수출에 기반을 둔 대외지향적 성장 전략을 유지해 왔다는 점이다. 내수시장보다는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이 가능한 수출시장에 우선순위를 뒀고, 그 결과 산업발전 역시 수출 관련 제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선진권 수요 위축이라는 통제 불가능한 변수가 나타나면서 새로운 성장 방식과 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국토균형발전 계획과 같은 소외 지역 개발 정책이나 적극적인 소비 지원 정책 등이 그것이다.  
 
흔히 신흥국을 가리켜 ‘아프리카와 유럽이 공존하는 사회’라고 말한다. BRICs 국가들 역시 지난 10년간 비약적인 고속성장을 이뤄냈지만 도?농 및 지역간 격차가 날로 심화되면서 심각한 성장의 후유증을 앓고 있다. 이는 각국이 앞다퉈 글로벌 시대에 편입되면서 자본과 노동이 비교우위를 갖춘 특정 지역과 산업에 집중된 데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도시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국과 인도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 일례로 중국 남부의 연해 도시인 션전(深玔)과 내륙 빈곤 지역인 구이저우(貴州)의 1인당 국민소득 차이는 10.6배에 달하며, 성(省)간 격차계수는 유럽 국가간 격차계수 0.49보다 훨씬 높은 0.64로 나타났다(2008년 기준). 인도 북부 펀자브주의 1인당 GDP는 경제적으로 낙후한 비하르주의 5배 수준이고, 브라질 상파울루 지역의 1인당소득은 동북부지역의 4.2배(2006년 기준),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성장률이 전국 평균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지역불균형 문제는 언제라도 사회 혼란을 촉발할 수 있는 고질적인 불안 요인일 뿐 아니라 지속 가능 성장과 소비 확대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 위기 극복 위해 국토균형발전 계획에 박차 
 
물론 BRICs 국가들이 그 동안 이 문제에 대해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지역간 균형발전을 모색해왔다. 중국은 ‘조화로운 사회건설’라는 11차5개년 계획 (2006년~2010년) 핵심방침에 따라 서부대개발을 필두로, 동북진흥, 중부굴기, ‘삼농(三農)’정책 등 지역균형 프로그램을 계속 집행해 왔고, 내륙지방에 대한 인프라확충으로 해당지역의 외국인투자 비중이 상승하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는 등 약간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지역 양극화 추세를 극복하기엔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있다. 러시아 역시 1996년부터 극동지역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지만 성과 측면에서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인도정부도 빈곤퇴치 프로그램과 농촌고용보장계획을 계속 추진해왔지만 예산부족, 부정부패 등이 뒤얽혀 뚜렷한 성과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 불균형 해소와 내수기반 확충의 일석이조 기대 
 
이런 상황에서, 최근의 글로벌 위기는 BRICs 각국의 균형발전전략에 재차 시동을 거는 새로운 모멘텀 역할을 하고 있다. 해외 수요 급감의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내수확대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인프라확충 등을 통한 소외지역 경제발전 전략이 위기극복의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조짐은 특히 도시화 비율이 낮고 인프라 보급이 부진한 중국과 인도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내륙(內陸), 내수(內需), 내치(內治)를 이번 위기 대응의 키워드로 삼고,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을 통해 그 동안 발전에서 소외되었던 지역들에 대한 개발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4분기 이후 집행된 재정지출 중에서 농촌과 내륙지역에 투입된 자금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2010년까지 지출될 4조 위안의 재정확대 방안 중 1조 8,000억 위안이 내륙지역 인프라 건설에 집중 투입될 예정이며, 1조 위안이 할당된 지진 복구작업 역시 중서부 지역의 쓰촨성이 수혜자이다. 이 밖에도 ‘가전하향(家電下鄕)’을 확대 실시하고, ‘자동차 하향’을 도입하며, 三農정책 예산을 전년보다 20% 늘리는 등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처럼 경기부양책을 내륙 지역에 집중시킨 결과 중서부지역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높아지고 있다. 올 1분기 중국 서부지역의 경제성장률이 동부지역(7.2%)보다 높은 10.6%을 기록했고, 특히 고정자산 투자 부문에서 서부지역은 동부지역의 두 배가 넘는 46.1%의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이 중 상당 부분은 경기부양을 위한 인프라 확충 사업에 의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소비부분에서도 그대로 나타나 서부의 소비증가율이 18.8%로 동부보다 3%포인트 이상 높았다(<그림 4> 참조). 소매매출 증가율 역시 농촌 지역이 15.6%(2009년1~5월 누적 기준)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도시 지역을 앞지르게 됐다. 이번 위기가 동부에 집중되어 있던 중국의 경제성장동력을 서부와 농촌으로 확산시키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 셈인 것이다.  
  
인도 정부도 글로벌 위기 조기 극복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낙후지역의 도로, 전력, 산업기반 플랜트 등 인프라 확충에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08년 12월과 2009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총 104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건설 관련 부양책을 발표한 데 이어 2012년까지 고속도로 등 SOC투자에 900억 달러를 쏟아 붇기로 했다. 첸나이~벵갈루루 등 6개 고속철도 노선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도 들어갔다. 
 
인프라뿐만 아니라 남북 간 발전 편차가 극심한 카르나타카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업 육성 및 지역발전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한 신산업정책(2009년 4월 발표)을 내놓기도 했다. 아울러 166개 지역을 낙후 정도에 따라 여러 개 지대(zone)을 분류하고 취약한 지역일수록 세금감면 등 혜택을 더 많이 제공하는 식으로 투자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외에 구자라트, 타밀나두 등의 주 정부도 지역개발을 위해 투자지원책을 계속 발표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인도 빈곤퇴치 프로그램에 29억 달러를 지원키로 함으로써 소외계층과 지역을 위한 인도 정부의 균형발전 계획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에서도 미약하지만 비슷한 움직임이 있다. 2013년까지 1,780억 달러에 달하는 인프라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205억 달러를 투입하는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간 고속철도 공사도 추진 중이다. 농가 부채상환기간 연장 등 농업부문 지원대책도 내놓았다.  
 
다만 러시아의 경우, 기존의 2008~12년 농촌개발 프로그램과 2013년 완료 목표의 신(新)극동지역 개발 계획을 진행하고 있지만 경제위기 대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건설 예산 430억 달러를 삭감하는 등 재정적 어려움에 봉착해 진행 속도가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 성공 가능성은 국별로 다소 엇갈려 
 
이번 위기로 자국 내부에서 중장기 성장동력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BRICs 국가들의 지역개발 열기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되겠지만 BRICs 각국 정부의 정책들이 모두 성공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중국과 브라질은 재정 상태가 비교적 건전하고 정부 의지가 강하다는 점이 긍정적 측면으로 꼽히고, 인도는 충선 이후 농촌지역 개발을 반대해 온 좌파 정당의 퇴조로 향후 지역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인도의 경우 GDP대비 13%까지 확대된 재정적자가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브라질은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정 집행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관료주의와 부패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가 과제로 꼽힌다. 러시아의 역시 대규모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어 유가가 크게 오르거나 세계경제가 회복단계에 들어간 뒤에나 관련 계획들이 본격적인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4. BRICs에서도 녹색 바람 거세진다 
 
넷째, 새로운 성장 동력 개발과 지속 가능 성장에 대한 관심 확대, 선진권 주도 환경 표준에 대한 경계심 등으로 환경 관련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늘어나면서 녹색산업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 올 전망이다.  
그 동안 BRICs를 비롯해 대부분의 신흥경제권 국가들은 환경 관련 규제와 표준을 비용 요인으로 인식해 온 것이 사실이다. 성장의 지속 가능성보다는 기본적인 먹거리 해결과 생존이 가능할 정도의 산업경쟁력 확보가 더 시급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번에도 그린 뉴딜은 환경 보호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선진국 중심의 성장 정책으로 첫걸음을 떼었다.  
 
그러나 이번 위기를 계기로 새로운 성장 동력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선진권 주도의 환경 표준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면서 BRICs 내에서도 녹색산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 중국과 브라질, 녹색기술 상용화 선도할 듯 
 
BRICs 국가들 중 가장 일찍부터 녹색 성장에 관심을 가져 온 나라는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1차 오일쇼크 이후 석유 의존도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에탄올 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해 왔으며 현재 미국에 이은 세계 2대 바이오 에탄올 생산국이다. 브라질 정부는 2008년 12월에 ‘기후 변화 대응 국가 전략’을 승인하면서 녹색 성장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기후 펀드를 도입하는 등 보다 체계적인 녹색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전통적인 굴뚝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유지해 온 중국은 상대적으로 그 출발이 늦은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 보호, 에너지 사용 절감 등을 기본 내용으로 하는 그린 뉴딜을 추진하고,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신재생 에너지 진흥 계획’의 초안을 발표하는 등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은 이를 통해 미래 유망 산업에 대한 입지를 선점하고 풍력과 태양 에너지 발전 용량을 확충해 202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의 20%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할 계획이다.  
 
인도와 러시아 역시 녹색 성장에 시동을 걸고 있다. 2008년 6월에 ‘기후변화 관련 국가행동계획’을 발표한 인도는 세부 시행 과제 설정을 최근에 마치고 올해부터 10년 동안 계획을 시행할 예정이다. 러시아 역시 올해 4월에 기후 변화 대응에 관한 환경 정책 원칙을 채택하고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0~15%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 BRICs 녹색기술 경쟁력은 이미 상당 수준 
 
이러한 BRICs 국가들의 녹색 성장 정책은 장단기로 나뉘어 추진될 전망이다.  
 
빠른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환경 파괴 최소화와 에너지 소비 급증 문제 해결, 그린 산업에서의 경쟁력 강화 등은 장기 과제로 접근하고, 태양에너지,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어느 정도 경제성이 검증된 분야의 상품화, 환경 규제를 통한 선진국의 무역 장벽 극복 등은 최대한 빨리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이 부분에서 가장 앞선 곳도 중국과 브라질이다. 중국의 경우, 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을 실제 산업화하는 부분에서 발 빠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 3위의 태양전지 업체인 썬텍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폭넓은 국내 제조업 기반, 풍부한 R&D 인력을 바탕으로 녹색산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착실히 진행 중이다. 브라질 역시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한 바이오에탄올 기술을 필두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대규모 투자와 연구를 진행 중이며, 관련 기술 및 상품 수출을 위한 기반 확충을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장기과제들 역시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상황이다. 홍수, 가뭄 등 환경 문제로 인한 피해액이 매년 GDP의 2~5%에 이르는 러시아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환경 악화는 사회적, 도덕적 책임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한 국가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중국경제를 2020년까지 2002년 대비 4배 규모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경제계획들을 집행해 가고 있지만, 여러 전문가들은 조만간 환경오염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증가해 이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게 만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환경 오염 개선 비용이 GDP의 8~12%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치를 내놓기도 했다.  
  
· BRICs 녹색시장 점유율 더욱 높아질 전망  
 
녹색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BRICs 각국 정부가 활용할 정책 수단은 산업과 제품에 대한 규제와 인센티브 도입, 신재생 에너지 등 녹색 시장 기반 마련, 저탄소 인프라 개발을 위한 청정개발사업(CDM) 추진 등이다. 
 
올해 3월, 영국의 기업규제개혁부(BERR)가 추정, 발표한 ‘세계 주요국의 녹색 상품 및 서비스 시장의 잠재적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시장에서 BRICs 4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 수준이다. 이는 미국(20.6%) 보다 훨씬 큰 규모인데다 앞서 소개한 것처럼 BRICs 국가들이 녹색 정책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이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그림 5> 참조).  
 
BRICs 각국 정부가 중점 추진중인 녹색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인도와 중국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 대한 에너지 소비 감소 의무제를 도입하고, 그린 조명이나 고연비 자동차와 같은 고효율 에너지 제품에 대해서는 세금을 감면하거나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쓰레기 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 태양열 발전 확대를 위한 지원 등도 계획하고 있다. 브라질은 기존 바이오 연료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식량 문제의 한계점을 뛰어넘을 2세대 바이오 에너지 개발에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우주개발의 산물로 확보한 세계적인 수준의 태양전지 기술을 비롯해 신재생 에너지에 관한 대부분의 기초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는 이를 좀 더 발전시켜 상용화하기 위한 정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BRICs 변화는 글로벌기업에게도 중요한 변수 
 
이처럼 BRICs 지역에서 새로운 변화들이 나타난다는 것은 글로벌 기업들 역시 곧 중대한 기로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앞으로 어떤 산업이 성장을 주도할 것인지, 각국의 역할 분담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내수시장과 수출시장이 어느 정도 비중으로 재편될 것인지, BRICs 국가들의 산업구조가 어떻게 바뀔 것인지 등에 따라 향후 시장 전망을 수정하고 전략적 대응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도전될 듯 
 
현재 예상되는 변화들이 대부분 그 동안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도전이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이 네 가지 변화가 우리 기업들에게 미칠 영향들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BRICs 국가들의 기여도가 커지고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는 것은 선진권에 비해 BRICs 시장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라 할 수 있다. 수출 규모 면에서도 BRICs 국가들의 비중이 높지만 특히 교역조건과 수익률 측면에서도 선진권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에서 지적했듯이 BRICs 각국 정부의 관심이 점차 국내 산업과 내수 시장 쪽으로 쏠리고, 그 만큼 자국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늘어날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시장을 지키기 위한 더 치열한 노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둘째, BRICs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글로벌금융자본 유입의 감소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함께 갖고 있다. BRICs에 대해 투자하려는 기업의 경우 투자유치국 정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고 시장주도권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인프라 확충, 공급망(supply chain) 확보 등 여러 업종과 업체의 직접투자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던 시기에 누렸던 외부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셋째, 국토균형발전 정책의 적극적 집행은 안정적인 경제성장 회복의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내수 시장 등장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이다. 특히 성장을 견인하는 지역과 소외된 지역 간 격차가 컸던 중국과 인도에서 이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전망이다.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중국의 소비시장이 중서부 지역으로 외연을 확대한다거나, 인도의 경우, 지방 거점 도시와 농촌지역의 소득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BRICs에서 불어 올 녹색성장 바람에 대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다. 기업들은 새로운 진입장벽의 출현 가능성에 대비하고 기술경쟁력을 가진 업체들과의 R&D 협력 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며, 정부는 그 동안 선진국 중심으로 추진되어 온 글로벌 차원의 표준 및 규제 마련에 대응하기 위해 BRICs 국가들과 공동 보조를 취할 부분은 없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변화 영향권, 예상보다 빨리 도래할 수 있어 
 
이와 더불어 고민해야 할 부분은 이런 변화들이 언제쯤부터 우리 기업들에게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물론 그 시기에 대해서는 누구도 정확한 답을 제시할 수 없겠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BRICs 국가들은 우리나라나 대만, 싱가포르처럼 세계시장의 결정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소규모 개방경제’가 아니라 각국 하나하나가 세계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개방경제’라는 점이다. 즉,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이 선진국 그늘 아래에서 세계경제 무대로 부상했던 1970년대나 80년대와 달리 BRICs 발 세계경제 변화의 영향은 우리 예상보다 훨씬 더 일찍 도래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끝>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