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최근 금리 급등의 배경 및 시사점' |
|
1. 최근 금리 동향
시장금리 급등락 현상이 발생
2007년 11월 하순 이후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등락하는 현상이 발생. 11월 28일에는 국고채(3년)금리가 0.24%p, 회사채(AA-)금리가 0.23%p급등하며 2003년 SK사태 이후 금리 하루 변동 폭 최대를 기록, 11월 29일에도 국고채금리가 0.1%p, 회사채금리가 0.11%p 상승하며시장 불안이 가속화. 반면 11월 30일에는 국고채금리가 0.26%p, 회사채금리가 0.23%p 하락했다가 12월 5일 다시 급등하는 등 시장 불안정성이 지속
금리 급등락 현상이 실물경제나 국제금리와의 연관성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분석. 10월 산업생산이 소비와 투자부문에서 예상보다 호조를 나타냈지만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할 정도는 아니었음. 시장 불안심리가 경감되면서 국고채 등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가 둔화되어 수익률이 소폭 상승할 정도의 영향. 콜금리수준도 8월 이후 5.0%로 동결되어 있는 상황. 미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및 부동산 시장 경색으로 인해 시장금리 하락세가 지속. 미 연준이 12월 11일 열리는 FOMC에서 연방기금금리를 추가 인하할것이라는 전망이 확산. 따라서 외환 및 채권시장과 연계된 통화 및 금리스왑시장의 움직임에 주목
금리 급변동에 대한 현상 분석과 함께 향후 재발 가능성 및 전개방향에대해서도 검토. 이번 현상이 단기적이고 일회성 성격을 갖는지 아니면 중장기적이고 지속성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정책 대응 방향을 모색. 향후에도 유사한 사건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면 근본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
2. 금리 급등의 배경
(1) 달러화 수급 불안
달러화 공급 감소에 따른 국고채 매도
달러화 공급 감소와 국고채 매도
▶ 국제금융시장 불안 → 달러화 공급 감소 및 회수 증가→ 외국인의 국고채 매도 → 금리 상승 → 국고채 매도 증가
한국은행의 단기 외화차입 축소 노력 및 국제 유동성 경색 현상으로 인해달러화 공급이 제한. 한국은행은 8월 10일부터 외화대출 용도제한 조치를 시행했으며, 2008년부터는 금융회사의 단기외채 손비인정 범위를 축소하기로 결정ㆍ금융회사의 단기외채 손비 인정범위를 현행 출자자본금의 6배에서 3배로 축소.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외은 본점의 달러 유동성이 경색되면서 외은 지점의 달러 차입이 제한되었고 오히려 상환 요구에 직면
외은 지점은 달러화 상환 압력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국고채를 매도. 이들 지점은 통화스왑거래 등을 통해 보유하게 된 원화로 국고채를 매수했는데, 달러화 상환 압력이 커지면서 달러 회수를 위해 보유 국고채를 매도. 국고채 매도로 인해 금리가 상승하고 이는 추가적인 국고채 매도로 연결
달러화 수요 증가와 통화스왑거래 손실 발생이 금리 상승을 증폭
달러화 수요 증가와 통화스왑거래 손실
▶ 선물환 매도 증가 → 달러화 수요 증가 → 통화스왑 및 재정거래가 증가한 상태에서 금리 상승 → 통화스왑거래 손실 발생 → 반대 매매로 국고채 매도 → 금리 추가 상승
조선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수출업체들은 달러표시 수출대금의 환율변동위험을 헤지할 목적으로 선물환을 매도- 2007년 상반기까지 조선업체의 수주액은 332억 달러로 2006년 수주액의 76%를 이미 달성. 업체들은 달러 보유에 따른 환율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은행에 선물환을매도. 이들 업체의 선물환 순매도는 2007년 3/4분기에만 176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증가세를 유지. 선물환 순매도 증가에 따라 원/달러환율은 하락세를 지속
은행들은 기업의 선물환 매도에 대응하기 위해 달러화 수요를 확대. 은행은 선물환 매수로 발생하는 달러 보유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해외에서달러를 차입하고 그 달러를 현물환시장에서 매도. 달러 차입 만기가 되면 선물환 거래에서 받게 되는 달러로 상환. 또는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보유한 달러화와 은행이 보유한 원화를 교환하는 통화스왑거래를 통해 달러를 조달한 후 현물환시장에서 매도. 은행의 달러화 수요가 확대되면서 통화스왑금리의 하락세가 장기화
통화스왑(CRS)거래와 통화스왑금리
▶ 통화스왑거래는 달러화와 원화처럼 서로 다른 통화 및 이자를 교환하는거래
▶ 국내은행은 통화스왑거래를 통해 원화를 주고 달러화를 받으며, 달러화를받는 대가로 변동금리(LIBOR 등)를 지불하고 원화를 주는 대가로 원화고정금리를 받음
▶ 이 때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크면 원화의 대가로 받는 원화고정금리가낮더라도 거래를 하고자 하므로, 최근 달러화 수요가 늘면서 원화고정금리(통화스왑금리)가 하락
외국은행 국내지점은 통화스왑금리가 낮아지면서 재정거래 기회가 발생. 외은 본점에서 차입한 달러를 통화스왑거래를 통해 원화로 바꾼 다음 국고채를 매입함으로써 국고채금리와 통화스왑금리만큼의 차익을 얻음. 거래 만기가 되면 국고채를 매도하여 원화를 상환하고 받은 달러화는 외은 본점에 상환
국고채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매입한 국고채의 손실이 확대되어 재정거래당사자들이 반대 매매를 실시하면서 금리상승이 가중. 스왑거래를 활용한 재정거래는 국고채 금리가 크게 변하지 않거나 하향안정될 것을 예상. 그러나 국고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채권 가격이 하락했고보유 손실도 확대. 통화스왑거래 만기가 되면 원화를 상환하기 위해 채권을 매도해야 하는데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인해 손실이 발생. 이에 따라 재정거래 당사자 가운데 상당수가 손절매(loss cut)를 위한 반대 매매를 실시하면서 채권금리가 대폭 상승. 원화 고정금리를 받는 통화스왑거래와 함께 보유 채권을 매도
(2) 은행의 자금 부족
고정금리 수요 증가와 금리스왑거래 손실
▶ 은행은 고정금리로 조달, 변동금리로 운용 → 고정금리 수요 증가 → 금리스왑 및 재정거래가 증가한 상태에서 금리 상승 → 반대매매로 국고채매도 → 금리 추가 상승
은행의 CD 및 은행채 발행 증가
2007년 들어 은행 대출 증가액에 비해 예금 증가액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 2007년 1월에서 11월까지 월평균 대출 증가액은 7조 800억 원인데 비해 단기 예금은 월평균 1조 1,100억 원 감소. 은행에서 감소한 예금 가운데 상당액은 주식형펀드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 2007년 들어 주식형펀드는 월평균 5조 100억 원씩 증가
은행들은 부족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CD 및 회사채 발행을 확대. CD 발행(11월까지 월평균 2조 5,300억 원)및 은행채 발행(11월까지 월평균 2조 6,800억 원)이 증가했고 CD금리 및 채권금리도 상승
은행의 고정금리 수요 확대와 금리스왑거래 손실 발생
은행은 대부분 고정금리로 조달하여 변동금리로 운용함에 따라 금리 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수요가 발생. 은행은 최근 은행채(고정금리)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주택담보대출(변동금리) 등으로 운용. 필요자금을 CD 등 변동금리로 조달하기도 하지만 CD는 만기가 단기(91일) 위주. 은행들은 금리 변동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금리스왑거래를 활용하여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대체. 은행들의 고정금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금리스왑거래의 대가로 받는 고정금리가 하락
금리스왑(IRS)거래와 금리스왑금리
▶ 금리스왑거래는 원금의 교환없이 이자 지급만을 교환하는 거래이며, 가장일반적인 형태는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사이의 이자 지급 교환
▶ 국내은행은 금리스왑거래를 통해 변동금리를 주고 고정금리를 받음
▶ 지급하는 변동금리는 대출에서 받는 이자를 통해 대응하고, 받는 고정금리는 이미 발행한 은행채 이자로 지급
▶ 이 때 고정금리에 대한 수요가 크면 금리스왑거래에서 받는 고정금리 수준이 낮더라도 거래를 하고자 하므로 고정금리(금리스왑금리)가 하락
금리스왑거래에서 고정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고정금리를 주고 채권을 매수하는 재정거래가 활성화. 금리스왑거래를 통해 고정금리를 주고 국고채를 매입함으로써 국고채이자와 고정금리만큼의 차익을 얻음
국고채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금리스왑을 통한 재정거래에서 평가손실이발생하여 반대매매를 실시. 금리스왑거래를 활용한 재정거래는 통화스왑 재정거래에서와 같이 국고채 금리가 변동하지 않거나 하향 안정될 것을 예상. 그러나 국고채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가격이 하락했고 평가손실도 확대. 이에 따라 재정거래 가운데 상당수가 손절매(loss cut)을 위한 반대 매매를 실시하면서 채권금리가 추가 상승
3. 전망 및 시사점
시장 불안정 요인 지속
한국은행의 시장 안정 의지 및 국제금융시장 불안 경감 가능성 등은 향후금리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한국은행은 11월 30일 국고채 1조 2,000억 원을 단순 매입하여 채권시장 안정을 도모ㆍ2008년 초 예정이었던 RP대상 채권 매입시기를 앞당긴 것이며, 채권시장 안정을 위한 긴급 자금지원의 성격. 미 연준이 12월 11일 FOMC에서 연방기금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으로예상되어 국제금융시장 불안 해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미국 금리 하락에 따른 달러 강세 완화 가능성도 통화스왑시장 정상화에 도움
그러나 최근 시장금리 급변동에 영향을 미친 외환 및 자금시장 요인들이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 수출업체들의 경우 향후에도 수출대금을 헤지하기 위해 선물환을 매도하려는 수요가 발생. 이에 따라 은행의 달러수요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통화스왑금리의 하락 압력이 작용. 한국은행의 국고채 매입에도 불구하고 채권시장의 불안정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 11월 30일 국고채금리가 0.26%p 하락(6.03%→5.77%)하면서 채권시장이 안정을 되찾는 듯 했으나 12월 5일 다시 6.0%로 상승. 은행들이 자금조달을 위해 CD 및 은행채 발행을 지속할 것으로 보여 마찰적인 금리 상승 가능성이 상존. 은행의 고정금리 수요에 따라 금리스왑거래에서 고정금리 하락 압력 지속
특히 통화스왑 및 금리스왑시장 규모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이 시장의 움직임에 따라 채권금리가 크게 변동할 가능성. 일평균 외환 통화스왑 및 금리스왑 거래량은 2007년 3/4분기에 56억 달러로 2000년(7,000만 달러)에 비해 80배나 성장. 이에 따라 통화스왑 및 금리스왑이 전체 외환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7년 3/4분기에 11.2%로 2000년(0.79%)보다 크게 상승. 파생상품거래에서 차지하는 금리스왑거래의 비중도 2007년 들어 크게상승ㆍ2007년 상반기 금리스왑 거래잔액은 1,820조원으로 전체 파생상품거래잔액(3,761조원)의 48.4%에 달해 2004년(36.5%)에 비해 높아졌음
단기적으로 시장 안정 조치, 장기적으로 은행의 수익구조 개선 필요
단기적으로 통화당국은 채권시장의 안정성 회복에 주력할 필요. 금리 급등락 등 채권시장이 균형 상태를 벗어나 불안이 심화된다고 판단될 경우 긴급 자금지원 등 유동성 공급을 통해 시장 안정성을 확보. 이러한 조치는 시장 개입이라기보다 시장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위한 최소한의 대응
외환시장에서의 달러화 부족 현상도 시장 안정 유지 차원에서 접근. 글로벌 유동성 축소 현상으로 달러 공급이 부족해진 상황에서 추가적인달러 유입 억제조치를 취할 경우 시장 안정성을 해칠 가능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완화될 때까지 신축적인 달러 공급 등 유연한 정책 대응이 필요
그러나 현재 여건이 바뀌지 않을 경우 은행들은 늘어나는 대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은행채 발행 등을 지속할 전망. 2007년 1~11월까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69.2조원으로 2006년 같은 기간(42.6조원)보다 62.4% 증가. 반면 1~11월 은행 정기예금은 11.9조원 증가하는데 그쳐 2006년 같은기간(18.7조원)에도 미치지 못했음. 2008년 상반기까지 도래하는 은행채 만기물량이 49조 5,346억 원으로같은 기간 국고채(18조 2,132억 원)의 2.7배에 달함. 특히 1월에만 10조 8,266억 원이 집중되어 있어 금리 상승압력으로 작용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은행들이 비이자수익 비중 확대 등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채권 발행을 통한 대출 확보 부담을 완화할 필요. 2006년 기준 국내은행의 비이자수익 비중은 18.7%로 미국 상업은행(48.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 특히 미국 은행들의 비이자수익은 예금계정 서비스, 신탁서비스 등 전통적인 비이자이익(32.6%) 이외에 신용의 상품화 관련 이익(16.4%), 데이타처리 및 유동성지원서비스 등 기타 항목(34.6%) 등 다양화.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증권화가 진행되자 위기에 직면한 미국 은행들이 비이자 이익을 30%에서 40%대로 높인 경험을 참고할 필요...전효찬 수석연구원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 경제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보는 2006년 마케팅 키워드' (0) | 2008.01.16 |
---|---|
◎되돌아보는 '2007년 경제전망' (0) | 2008.01.16 |
◎일본 개인금융자산의 구성변화와 시사점' (0) | 2008.01.15 |
◎'2008년 한국경제 전망' (0) | 2008.01.15 |
◎'반도체·LCD 산업의 경쟁 현황과 시사점' (0) | 2008.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