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기준 산업활동동향 관련 지수개편 결과 |
(대전=뉴스와이어) 2008년02월28일-- 2005년 기준 산업활동동향 관련 지수개편 결과
Ⅰ. 개편 필요성
2000년 이후 생산, 유통 등 경제구조 변화에 맞춰 가중치, 사업체 및 품목의 변동 등을 반영하여 지수의 현실 반영도 제고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국내총생산 등 국내 경제 지표들과 기준년도를 일치시킴으로써 자료의 비교 및 활용성 제고
Ⅱ. 주요 개편 내용
1. 공통 사항
□ 기준연도 변경 : 2000년(현행) → 2005년(개편)
□ 신지수 공표 일정
○ 2005년 기준 신지수는「2008년 1월 산업활동 동향」보도시 공표 [3.4(화), 13:30]
2. 통계별 개편 내용
□ 광공업 생산, 출하, 재고지수
○ 대표품목 선정
- 생산·출하지수
· 선정기준 : 「2005년 기준 광업·제조업통계조사」결과 전체 생산액의 1/5,000(약 1,709억원)이상 되는 품목
· 선정결과 : 633개 품목(‘00년 기준 644개 품목보다 11개 감소)
√ 신규품목 : 인조대리석, 디지털도어록,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내비게이션, 치과용임플란트, 시스템에어콘 등
√ 탈락품목 : 정제소금, 돼지가죽, 브라운관용유리, 헤드폰, 소형전축, 프로잭션 TV, 석유난로, 자전거, 인형 등
√ 세분품목 : 화물선→ (가스및화학운반선, 컨테이너운반선및기타)
다목적형승용차 → (SUV(Sports Utility Vehicles)형 승용차, CDV(Car Drived Vans)형 승용차) 등
- 재고지수
· 선정기준 : 생산지수 대표품목 중 재고의 의미가 없거나 비중이 낮은 품목은 제외(선박, 빵, 두부 등)
· 선정결과 : 519개 품목(현행 540개 품목보다 21개 감소)
○ 가중치 산정
- 산정방법 : 대표품목별 부가가치액(생산지수), 출하액(출하지수), 재고액 (재고지수) 등을 각각의 총액에 대한 10,000분비로 산출
- 산정 결과 (생산지수 기준)
· 광업, 제조업은 증가한 반면 전기·가스업*의 비중은 감소
·· 제조업 : 9354.5(‘00) → 9422.0(‘05) 67.5p 증가
·· 전기가스업 : 609.7(‘00) → 541.5(‘05) -68.2p 감소
·· 광업 : 36.5(‘00) → 35.8(‘05) 0.7p 증가
*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에 의한 생산비 증가로 부가가치액 감소
- 업종별 가중치 변화 (생산지수 기준, 신·구 차이)
· 증가업종 : 1차금속(178.7), 자동차(171.7),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108.1)
· 감소업종: 섬유제품(-214.3), 의복및모피(-78.2), 가죽및신발(-51.1), 종이(-51.0)
○ 표본사업체 선정
- 조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위하여 종사자수 20인 이상 사업체를 표본틀로 설정하고 전체 출하액의 대표도가 90% 이상 되는점에서 절사법(Cut- off)에 의해 표본 추출
· 표본사업체수 : 약 8,300개
○ 특수분류지수의 시계열 자료를 연장하여 활용성 확대
- 1985년1월(‘00년 기준) → 1975년 1월(’05년 기준)
※ 특수분류지수는 제조업 부문을 지수작성 목적에 따라 품목을 재분류하여 작성.
[공업구조별(경공업, 중화학공업), 재별분류(자본재, 중간재, 소비재), 산업형태별(기초소재형, 가공조립형, 생활관련형)]
□ 제조업 생산능력, 가동률지수
○ 대표품목 선정
- 품목수 : 266개(‘00) → 288개(‘05) : 업종 대표도 유지를 위한 신규품목 증가
· 신규 : 금형, 광학렌즈 등 37개, 탈락 : 브라운관용유리, 소형전축 등 15개
○ 가중치 산정
- 기초자료 : 2005년기준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부가가치액
- 산정결과
· 생산능력, 가동률지수 모두 제1차 금속, 자동차 및 트레일러 업종의 가중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섬유제품이 가장 많이 감소
○ 표본사업체 선정
- 표본사업체수 : 약 2,600개
□ 서비스업생산지수
○ 명칭 변경
- (현행) 서비스업활동지수 → (개편) 서비스업생산지수
ㅇ 업종 추가, 세분화 : 303개 업종(현행 보다 83개 업종 증가)
- 급성장하는 업종은 추가(12종)하고 의료업 등은 세분(3종 → 12종)
· 추가 업종 : 사회복지사업, 운송장비임대업, 수리업 등
· 세분 업종 : 의료업을 병원, 의원 등 2개 업종으로 세분 등
※ 일부 신규 및 세분업종은 공표 범위에서 제외 될 수 있음
○ 업종의 생산구조 변화 반영
- 비중이 확대된 업종
·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 (현행) 3.95% → (개편) 6.01% (2.06%p 확대)
· 교육서비스업 : (현행) 8.56% → (개편) 10.55% (1.99%p 확대)
- 비중이 축소된 업종
· 도·소매업 : (현행) 27.60% → (개편) 21.96% (5.64%p 축소)
· 금융 및 보험업 : (현행) 17.60% → (개편) 15.36% (2.24%p 축소)
□ 도소매업판매액지수
○ 업종 확대, 세분화
- 소매업은 가전제품소매업, 통신기기소매업,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등 3개 업종 추가
- 소매업종의 세분
· 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현행)은 수산물소매업, 가공식품소매업, 비가공식품소매업 3개로 세분
- 소매영업 형태별 지수를 세분화(2개 → 4개)
· 기타소매점 → 전문상품소매점, 기타종합소매점
· 무점포소매점 → 사이버쇼핑몰, 기타무점포소매점으로 각각 세분
Ⅰ. 개편 필요성
2000년 이후 생산, 유통 등 경제구조 변화에 맞춰 가중치, 사업체 및 품목의 변동 등을 반영하여 지수의 현실 반영도 제고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국내총생산 등 국내 경제 지표들과 기준년도를 일치시킴으로써 자료의 비교 및 활용성 제고
Ⅱ. 주요 개편 내용
1. 공통 사항
□ 기준연도 변경 : 2000년(현행) → 2005년(개편)
□ 신지수 공표 일정
○ 2005년 기준 신지수는「2008년 1월 산업활동 동향」보도시 공표 [3.4(화), 13:30]
2. 통계별 개편 내용
□ 광공업 생산, 출하, 재고지수
○ 대표품목 선정
- 생산·출하지수
· 선정기준 : 「2005년 기준 광업·제조업통계조사」결과 전체 생산액의 1/5,000(약 1,709억원)이상 되는 품목
· 선정결과 : 633개 품목(‘00년 기준 644개 품목보다 11개 감소)
√ 신규품목 : 인조대리석, 디지털도어록,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내비게이션, 치과용임플란트, 시스템에어콘 등
√ 탈락품목 : 정제소금, 돼지가죽, 브라운관용유리, 헤드폰, 소형전축, 프로잭션 TV, 석유난로, 자전거, 인형 등
√ 세분품목 : 화물선→ (가스및화학운반선, 컨테이너운반선및기타)
다목적형승용차 → (SUV(Sports Utility Vehicles)형 승용차, CDV(Car Drived Vans)형 승용차) 등
- 재고지수
· 선정기준 : 생산지수 대표품목 중 재고의 의미가 없거나 비중이 낮은 품목은 제외(선박, 빵, 두부 등)
· 선정결과 : 519개 품목(현행 540개 품목보다 21개 감소)
○ 가중치 산정
- 산정방법 : 대표품목별 부가가치액(생산지수), 출하액(출하지수), 재고액 (재고지수) 등을 각각의 총액에 대한 10,000분비로 산출
- 산정 결과 (생산지수 기준)
· 광업, 제조업은 증가한 반면 전기·가스업*의 비중은 감소
·· 제조업 : 9354.5(‘00) → 9422.0(‘05) 67.5p 증가
·· 전기가스업 : 609.7(‘00) → 541.5(‘05) -68.2p 감소
·· 광업 : 36.5(‘00) → 35.8(‘05) 0.7p 증가
*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에 의한 생산비 증가로 부가가치액 감소
- 업종별 가중치 변화 (생산지수 기준, 신·구 차이)
· 증가업종 : 1차금속(178.7), 자동차(171.7),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108.1)
· 감소업종: 섬유제품(-214.3), 의복및모피(-78.2), 가죽및신발(-51.1), 종이(-51.0)
○ 표본사업체 선정
- 조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위하여 종사자수 20인 이상 사업체를 표본틀로 설정하고 전체 출하액의 대표도가 90% 이상 되는점에서 절사법(Cut- off)에 의해 표본 추출
· 표본사업체수 : 약 8,300개
○ 특수분류지수의 시계열 자료를 연장하여 활용성 확대
- 1985년1월(‘00년 기준) → 1975년 1월(’05년 기준)
※ 특수분류지수는 제조업 부문을 지수작성 목적에 따라 품목을 재분류하여 작성.
[공업구조별(경공업, 중화학공업), 재별분류(자본재, 중간재, 소비재), 산업형태별(기초소재형, 가공조립형, 생활관련형)]
□ 제조업 생산능력, 가동률지수
○ 대표품목 선정
- 품목수 : 266개(‘00) → 288개(‘05) : 업종 대표도 유지를 위한 신규품목 증가
· 신규 : 금형, 광학렌즈 등 37개, 탈락 : 브라운관용유리, 소형전축 등 15개
○ 가중치 산정
- 기초자료 : 2005년기준 광업·제조업통계조사 부가가치액
- 산정결과
· 생산능력, 가동률지수 모두 제1차 금속, 자동차 및 트레일러 업종의 가중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섬유제품이 가장 많이 감소
○ 표본사업체 선정
- 표본사업체수 : 약 2,600개
□ 서비스업생산지수
○ 명칭 변경
- (현행) 서비스업활동지수 → (개편) 서비스업생산지수
ㅇ 업종 추가, 세분화 : 303개 업종(현행 보다 83개 업종 증가)
- 급성장하는 업종은 추가(12종)하고 의료업 등은 세분(3종 → 12종)
· 추가 업종 : 사회복지사업, 운송장비임대업, 수리업 등
· 세분 업종 : 의료업을 병원, 의원 등 2개 업종으로 세분 등
※ 일부 신규 및 세분업종은 공표 범위에서 제외 될 수 있음
○ 업종의 생산구조 변화 반영
- 비중이 확대된 업종
·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 (현행) 3.95% → (개편) 6.01% (2.06%p 확대)
· 교육서비스업 : (현행) 8.56% → (개편) 10.55% (1.99%p 확대)
- 비중이 축소된 업종
· 도·소매업 : (현행) 27.60% → (개편) 21.96% (5.64%p 축소)
· 금융 및 보험업 : (현행) 17.60% → (개편) 15.36% (2.24%p 축소)
□ 도소매업판매액지수
○ 업종 확대, 세분화
- 소매업은 가전제품소매업, 통신기기소매업,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등 3개 업종 추가
- 소매업종의 세분
· 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현행)은 수산물소매업, 가공식품소매업, 비가공식품소매업 3개로 세분
- 소매영업 형태별 지수를 세분화(2개 → 4개)
· 기타소매점 → 전문상품소매점, 기타종합소매점
· 무점포소매점 → 사이버쇼핑몰, 기타무점포소매점으로 각각 세분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 통계청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1월 산업활동동향 (0) | 2008.03.04 |
---|---|
◎우리나라의 국제상표출원 증가율 세계 4위 (0) | 2008.03.03 |
◎2007년 사교육비실태조사 결과 (0) | 2008.02.22 |
◎2007년 인력실태조사 결과 (0) | 2008.02.21 |
◎통계청 'e-未地' SGIS 서비스 시작 (0) | 200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