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보이스피싱)번호 검색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삼성경제연구소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과 대응방안'
국별 세계시장 점유율(수주량 기준)
jpg 150x94 11.3 KB
jpg 300x187 32.6 KB
jpg 567x354 19.8 KB
한국의 설비능력 확충과 선박가격 변화
jpg 150x102 10.2 KB
jpg 300x205 32.8 KB
jpg 567x387 20.4 KB
(서울=뉴스와이어) 2007년06월04일-- 삼성경제연구소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과 대응방안'

1.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 조선산업

최근 중국 조선산업은 양적인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 2007년 4월까지 중국은 전년동기 대비 65% 증가한 850만CGT를 수주하여 한국을 추월. 국별 수주 점유율(2007.1∼4): 중국 42.2%, 한국 34.3%, 일본 6.0%- 2006년부터 수주와 수주잔량에서 일본을 추월했으며, 최근 들어 격차가 더욱 확대. 중국은 한국보다는 일본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

수주 호조에 힘입어 중국 조선소의 위상도 빠르게 상승. 2005년 말 세계 10위에 불과하던 대련선박중공은 2007년 3월에는 5위로 도약(수주잔량 기준). 현재 중국은 세계 100대 조선소 중 가장 많은 31개 기업을 보유. 한국은 15개, 일본은 30개의 기업이 100대 조선소에 포함

守城의 전략이 필요한 시점

한국 조선산업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의 빠른 성장으로 안심하고 있을 상황은 아님. 한국은 2000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조선강국으로 등극한이후 지금까지 모든 지표에서 경쟁국에 비해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 하지만 2000년 세계 시장 점유율이 10%에도 못 미치던 중국은 불과 몇년 사이에 양적으로 한국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 중국의 주력선종인 벌크선 호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중국조선산업이 발전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

자축보다는 편안할 때 위기를 대비하는 '거안사위(居安思危)'의 마음가짐과 준비가 필요한 시점. 그 동안 한국은 추격자의 입장에서 일본 따라잡기에 주력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국의 성장을 견제하는 守城의 전략이 미흡. 중국의 성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보다는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

2. 한국 조선산업에 미치는 영향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

주력 선종에서 한국과 중국은 아직 경쟁단계에 진입하지 않음. 2007년 들어 중국이 수주한 선박의 50% 이상이 기술적 난이도와 부가가치가 낮은 벌크선에 집중. 한국은 이미 3년 이상의 충분한 일감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벌크선의수주를 기피. 반면 한국은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을 석권하며, 기술과 생산능력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 현재 한국은 건조량에서 중국을 3배 정도 앞서고 있음

중국 조선산업은 양적 성장과는 달리 질적인 면에서는 한국과 격차 존재. 현재 중국 근로자의 임금은 한국 대비 1/6∼1/5 수준이나 생산성이 떨어져 전체적인 가격경쟁력은 한국과 중국이 비슷한 상황. 기술경쟁력의 경우 중국은 전반적인 분야에서 한국 대비 열위에 있으며, 특히 원가, 생산 등 관리 분야의 기술이 미흡. 중국은 후방 산업의 취약으로 기자재 국산화율이 40% 정도에 불과. 한국의 경우 국산화율이 90%에 이를 정도로 연관산업이 발달

2010년 이후에는 한국과 경쟁하는 선종이 크게 증가할 전망-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등 한국의 주력 선종에 대한 건조경험을 축적하기 시작. 후동중화는 2007년 10월 14만7,000㎥급 LNG선 2척과 8,000TEU급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인도할 예정

공급과잉에 의한 조선경기 하락이 가장 큰 문제

중국은 2015년 한국 추월을 목표로 대규모 투자를 진행. 현재 중국은 2015년까지 2단계에 걸쳐 양쯔강 하구의 창싱다오(長興島)등 3대 조선기지에 대대적인 설비확장을 진행. 2015년 중국은 23기의 대형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도크를 보유하여 15기의 한국을 추월하게 됨. 특히 중국 최대 업체인 중국선박공업집단은 2015년 세계 1위로 부상한다는 계획 하에 설비확장을 빠르게 진행. 중국선박공업집단의 설비능력: 300만 톤('03) → 1,200만 톤('15)

중국의 설비증설로 인해 2010년 이후 조선경기가 하락의 가능성이 증대. 벌크선 호황, LNG 수요 증대, 단일 선체 유조선 퇴출 등 현재의 수요상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2∼3년 간은 중국 증설의 영향은 작을 전망. 중국의 2단계 증설(2012년∼2015년 완공)의 영향이 나타나는 2010년 이후로는 공급부족 현상이 해소되면서 조선 경기가 하락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있음. 한국, 중국, 일본의 조선소들이 3년 이상 일감을 확보하고 있어 2012년 이후의 인도물량은 2010년 정도부터 수주가 진행

중국 조선산업 성장의 가장 큰 영향은 기술적인 추격보다는 선박 가격 하락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채산성 악화. 2010년 이후 늘어난 설비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중국 업체들이 저가공세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기술 격차는 지속되겠지만 LNG선 등 주요 선종에서 중국은 충분한 건조 경험을 축적. 과거 1990년대 한국과 일본의 경쟁으로 선박 가격 하락이 장기화됐던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도 있음. 1990년대 초 한국 기업의 설비증설과 생산성 향상으로 조선업계는 10년 정도 초과공급에 의한 저선가 시기를 겪음

중소형 조선소가 우선적으로 경쟁에 직면

현재 대형 3사 외에 중소형 조선업체들도 조선경기 호황의 수혜로 빠르게 성장. 현재 중소형 조선업체들은 벌크선과 석유화학 운반선 등을 중심으로 3년이상의 일감을 확보하는 등 호황을 누리고 있음. 조선산업의 우수한 인프라와 생산기술과 품질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한국 중소형 조선업체 경쟁력의 원천.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 자체적인 설계 능력이 없으나 선주들의 요구사항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설계용역회사들을 활용

조선경기 호황을 바탕으로 한국의 중소규모 조선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신증설 투자를 확대. 선박 일부분을 만드는 블럭 제작, 선박 수리 등을 전담하던 기업들이 선박 건조 업체로 탈바꿈. 2000년 이후 10여 개 기업이 선박 건조 시장에 신규 진출. 건설, 철도차량 등 他업종 기업이 중소 조선소를 인수해 새롭게 진출하는 사례도 증가

향후에도 한국 중소형 조선소가 중국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 국내 중형조선소들은 R&D 기능이 취약하거나 부재하고, 설계를 외부 용역에 의존하며 주로 생산 기술경쟁력에 의존. 중국은 대형 공사(公社)의 관할 하에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대형조선 부문과 조직적인 기술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음. 현재 중국은 중소형 선박의 대규모 수주를 통해 빠르게 건조경험을 축적 중

3. 대응방안

가격경쟁력 제고를 통해 지속적 경쟁우위 확보

고부가가치 선박의 개발과 함께 중국의 저가 공세에 대응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의 확보에 노력을 집중. 세계 1위 지위의 지속적 유지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 주력 선종의 경쟁력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 유럽 조선소가 고부가가치의 크루즈선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商船분야에서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점차 쇠퇴하고 있는 상황. 2010년 이후 중국과의 가격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원가절감이 필요

생산성 향상, 독자모델 개발 등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한 활동을 다각도로 전개. 획기적으로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 노력만으로는 한계. 한국의 생산성은 이미 업계 최고인 일본 수준에 근접했으며, 중국이 생산성 개선의 여지가 더 많은 상황.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로열티 지출 절감 등 다각도로 원가 절감을 활동을 전개. 현재 LNG선의 경우 원천기술을 보유한 프랑스 GTT에 척당 1,000만 달러의 로열티를 지불

글로벌 생산체제의 확대

저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해외 생산기지를 확보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중국의 성장을 견제.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저가 제품을 생산하고 국내에서는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 베트남, 필리핀 등의 낮은 임금과 한국 기업의 브랜드와 기술력을 결합하여 벌크선 등 중국의 주력시장을 공략. 중국기업 주력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경쟁은 추가적인 투자를 위한 수익창출과 건조경험 축적을 방해하여 추격 속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옴

합작투자보다는 직접투자 방식으로 기술유출 가능성을 최소화. 해외 생산거점의 마련은 필연적으로 기술유출의 가능성이 높아짐. 하지만 중국이 프랑스 등으로부터 LNG선 기술을 도입했듯이, 해외 진출을 하지 않았다고 기술유출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님. 기술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하면 직접투자 방식으로 진출하고, 핵심부분은 국내에 유지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차세대 성장동력을 적극 육성

새로운 주력선종의 지속 발굴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충. 현재 유조선, 컨테이너선 등 상선 위주에서 탈피하여 크루즈선, 군함, 레저용 선박 등을 개발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 풍부한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기술력이 있는 유럽 등의 기업을 인수하여 시간을 단축하고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이 필요

플랜트 등 기존 사업역량을 활용하여 연관산업으로의 진출을 확대. 한국 조선소의 경우 선박부문의 비중이 40~80%로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불황시 경영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따라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해양 풍력발전 등 관련 산업으로 다각화하는 전략이 필요. 현대중공업은 선박엔진 기술을 바탕으로 이동식 발전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아이디얼일렉트릭을 인수하여 발전 플랜트 사업을 강화

중소형 조선업체의 전문화

중소형 조선소는 설비 확장 경쟁을 지양하고 전문분야로 특화하는데 주력. 향후 중소형 선박 시장의 경쟁환경이 불투명한 가운데 보통 2년 정도 소요되는 신규 도크 건설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이 큼. 설비 확충보다는 부족한 기술력을 보완하여 중국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전문 영역을 개척하는 것이 향후 성장의 전제조건

업계와 정부가 협력을 통해 R&D, 영업 등을 지원하는 기구를 운영. 중소형 조선소, 공공연구기관, 대학이 참여한 기술연구조합을 구성하여선박 개발, 용접 자동화 등의 R&D를 수행하고 전문화를 지원. 대기업의 퇴직 인력을 활용하여 조선공업협회 등에 해외영업팀을 설치하고 공동 수주활동을 전개. 현재 국내 중소형 업체들은 주로 해외 브로커를 통해 수주하는 반면, 중국은 2개의 공사에서 수주하여 각 조선소에 일감을 배분...임영모 수석연구원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