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Report]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원 설문 조사의 새로운 변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구성원 의견을 바탕으로 조직 운영 방식을 개선하거나 구성원들의 업무 몰입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를 발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구성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등 구성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구성원 설문 조사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다양한 주제에 걸친 지나치게 많은 수의 문항에 따른 응답 동기 저하로 설문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설문 결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아 매년 관행적으로 실시하는 형식적인 제도로 전락하거나, 실질적인 개선 보다 조직간 점수 경쟁으로 변질되는 등 구성원 설문 조사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구성원 설문 조사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변화가 지속되고 있다. 발달된 IT 기술 등을 활용한 빠른 설문 구성 및 분석, 주관식이나 감정 분석 등 질적 분석 기법의 발달, 구성원들이 보다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소셜 미디어 등의 활용 등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애플 스토어, 젯블루 등의 경우 한두 문항으로 구성된 짧은 설문으로 구성원들의 몰입도를 측정한다. IBM, 인텔은 설문 조사의 주관식 응답이나 사내 게시물에서 수집한 문장들을 분석하여 조직 운영 등에 대한 구성원들의 감정 변화를 파악하기도 한다.
구성원 설문 조사의 목적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 전반을 보다 개선시켜나가는 데 있다. 본연의 목적이 퇴색된다면 구성원 설문 조사는 아무리 새로운 방법이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형식적이고 낭비적인 제도로 전락할 수 있다. 구성원 설문 조사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구성원들은 실질적인 변화를 느낄 수 있는지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 목 차 >
1. 구성원 설문 조사를 하는 이유
2. 기존 구성원 설문 조사의 문제
3. 구성원 설문 조사의 새로운 변화
4. 맺음말
=원문 PDF파일 다운=
lgeri_report_구성원설문20161201_20161201135624.pdf
'■ 경제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port] 2017년 경제전망 (0) | 2016.12.27 |
---|---|
◎[Report] 인도의 화폐개혁과 ‘현금 없는 사회’의 꿈 (0) | 2016.12.21 |
◎[Report] 미래 부실위험 높이는 가계부채, 현재 소비에는 플러스 요인 (0) | 2016.11.28 |
◎[Report] 반세계화 시대의 세계화 (0) | 2016.11.21 |
◎[Brief] 불확실성 높은 트럼프 시대의 세계경제 (0) | 201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