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의 미래:진단과 전망' |
|
1. 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의 역사
브레튼우즈 체제 이후 달러화 중심의 기축통화 체제 유지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를 바탕으로 미 달러화가 세계경제의 유일한 기축통화로 부상. 브레튼우즈 체제는 금·달러본위제와 고정환율제를 골격으로 하는 국제통화체제. 달러화를 일정량의 금에 고정(금 1온스당 35달러)시키고 항시 금과 교환이 가능한 금·달러본위제를 채택. 달러화에 대해 각국통화의 환율을 고정하는 고정환율제도를 채택. 브레튼우즈 체제는 미국경제와 달러화에 대한 절대적 신임을 전제로 했을 때 가능한 체제
이후 달러화는 기축통화로서 위상이 약화되는 등 몇 차례의 고비를 경험했고 그 때마다 달러 패권 시대가 끝날 것이라는 주장이 등장. 미국이 1971년 8월 15일 달러화의 금 兌換을 정지시킴으로써 브레튼우즈 체제가 붕괴. 국제통화체제는 변동환율제도로 이행. 1985년 플라자 합의 등으로 달러화 가치가 절반으로 하락하기도 함
그러나 달러화는 세계 최고의 경제력 유지와 금융네트워크 지배를 바탕으로 현재까지도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유지.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경제의 고성장과 '강한 달러' 정책을 바탕으로 회생
최근 달러화의 위상이 다시 흔들리는 조짐
최근 들어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역할에 대한회의론이 다시 부상. 달러화가치는 1970년대 초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한 이후 최저치 수준에 근접. 달러화의 실질실효환율지수(2000년=100)가 2007년 2분기에 81.8까지 하락했고, 3분기에는 더욱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미국경제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달러화 가치의 추가 하락 전망이 빠르게 확산. 미국의 고금리와 높은 성장률에 가려져 있던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와재정수지 적자가 다시 전면에 부각
2. 달러화 위상 약화 요인
과도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및 dollar recycling 구조
GDP의 6%에 달하는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있고, 적자비중도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 아시아국가 및 산유국의 경상수지 흑자가 크게 늘어나는 것에 비례해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급증(global imbalance).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신흥시장의 고성장과 유가상승에 기인
달러 리사이클링(dollar recycling)6) 구조가 경상수지 적자를 고착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미국으로 유입되는 대규모 국제자본이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보전. 2006년 한 해 동안 국제자본은 8,800억달러의 미국자산을 매입. 달러 리사이클링 구조 때문에 달러화 약세가 억제되고 고평가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
달러 리사이클링 구조가 깨질 경우 달러화 가치의 추가 하락과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에 타격 불가피- '국제자본의 미국자산 매입 축소 → 달러화 가치 하락 → 국제자본의 미국자산 매입 축소'의 逆recycling 구조가 형성.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달러화 약세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할 경우 달러 리사이클링 구조가 깨질 가능성.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미국경제의 침체 예상 등으로 이미 미국으로의 자본유입이 위축되는 조짐
아시아머니와 오일머니 규모가 급속히 확대
아시아지역과 산유국에 경상수지 흑자가 집중되면서 오일머니와 아시아머니8)의 투자자산 축적 규모가 급증. 2006년 말 현재 오일머니에 기초한 투자자산은 3.4~3.8조원으로 추정되고, 아시아 중앙은행의 투자자산은 3조달러를 상회
오일머니와 아시아머니의 지속적인 확대는 달러 리사이클링 구조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오일머니는 전통적으로 유럽지역 자산 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미국자산, 특히 국공채 투자에는 소극적. 오일머니의 대규모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동산유국의 미국 국공채 보유증가 규모는 2000년대 들어 545억달러에 불과. 아시아머니는 달러화 자산에 집중 운용되어 달러 리사이클링을 뒷받침해주는 원동력 역할을 해 왔으나 더 이상의 역할은 기대하기 곤란.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액 운용 시 달러화 자산 일변도에서 벗어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변화 중. 민간부문의 자산운용도 달러화 자산 비중을 줄이고 다변화하는 노력이 강화 될 전망
유로화의 부상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의 패권을 넘볼 수 있는 기축통화로서의 잠재력을 보유. 유로화의 등장은 과거 어느 때보다 달러화의 위상을 약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 과거에는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더라도 이를 대체할 만한 통화가 없어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위상 자체는 변함없이 유지
유로경제권은 미국경제와 비슷한 경제규모와 교역규모를 가지고 있어 세계 결제통화로서의 역할 수행이 가능. 2006년 유로권(유로화를 공식통화로 사용하는 13개국)의 GDP는 11.7조달러, 교역규모는 3.8조달러 (1.4달러/유로 환율 적용). 국제자본이 달러화 자산의 대체 운용처로서 유로화 자산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여서 준비통화로서의 역할도 강화.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외환보유액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유로화 표시 자산 비중을 높이는 추세
3. 향후 전망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위상 약화 지속 예상
달러화는 기축통화에 요구되는 국제유동성 공급 역할과 기축통화로서 신뢰도 유지 문제 사이에 딜레마(international liquidity dilemma)에 직면.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축소가 필요. 반면 유일한 기축통화로서 팽창하는 세계경제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나 재정적자가 불가피
미국경제의 비중이 하락하면서 달러화의 국제유동성 딜레마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여 달러화가 유일한 기축통화로서 역할을 하기에 한계.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미국경제의 비중이 하락. 아시아의 고성장세를 감안하면 향후에도 미국경제의 비중 하락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 미국경제 비중 하락은 기축통화로서 달러화의 국제유동성 공급 능력을 제약. 반면 세계 경제규모 확대는 기축통화의 국제유동성 공급 확대를 요구
오일머니와 아시아머니의 축적은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달러화의 위상 약화를 촉진할 전망. 2012년에는 오일머니에 기초한 투자자산 규모가 6~7조달러 이상, 아시아 중앙은행의 투자자산 규모가 5~7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기축통화 독점시대에서 과점시대로 이행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의 역할이 축소되고 여타 주요통화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유로화는 유럽지역의 통합통화로서 위상을 더욱 강화하면서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
일본 엔화나 중국 위안화는 달러화를 대체할 기축통화로서는 약점이 있으나 세계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통화로서의 기능 확대는 가능. 엔화는 대규모 엔캐리 트레이드를 통해 국제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등 세계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 중.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과 일본 가계의 해외투자 자금을 합치면 0.5~1조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짐. 위안화는 중국의 경제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어 아시아 지역에서 장래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전망. 금융부문의 낙후와 경제불안정으로 인해 국제통화로서 역할을 하기에는 아직 역부족
세계 기축통화의 변화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필요. 직접적으로는 외환보유액의 보유통화 비중 다변화와 무역결제비중 다변화를 추진. 아시아 통화통합 논의 확대에 대비하고 아시아 역내 금융시장의 활용 방안을 강구...권순우 수석 연구원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 경제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로우어답터(Slow Adopter)가 뜬다' (0) | 2008.01.14 |
---|---|
◎'왜 지금 지주회사인가' (0) | 2008.01.14 |
◎'인도 금융부문의 현황과 시사점' (0) | 2008.01.14 |
◎'2007년 하반기 및 2008년 국제유가 전망' (0) | 2008.01.14 |
◎'인터넷 정보량 급증의 영향과 대응' (0) | 2008.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