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보이스피싱)번호 검색
« 2024/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인도 소비시장이 살아나고 있다

■ 경제보고서 ■ | 2014. 12. 11. 13:02 | Posted by 중계사

LG경제연구원 '인도 소비시장이 살아나고 있다'

지난 2012~13년 저상장의 덫에 빠졌던 인도시장이 2015년에 본격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는 지난 2014년 1분기에 5월 총선을 앞두고 소비심리가 호전되면서 8.2%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속적인 소비심리 개선 추세와 2015년초 금리인하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2015년 소비시장은 더욱 활기를 띠게 될 전망이다. 

인도의 내구재 소비시장은 민간소비의 4.9%에 해당되는 연간 약 543억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내구재 소비는 필수소비가 아닌 자유재량(Discretionary) 소비로서 경기 시그널의 역할이 강하다. 소비침체기에는 내구소비재 시장의 위축이 바로 따르고 확장기에는 반대로 내구재 소비의 팽창이 기대되는 셈이다. 도시지역에서는 지난 2013년 5~7월에 4% 감소했던 일용 소비재(FMCG) 소비가 1년만에 8% 증가세로 반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의 내구재 소비가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도 소비시장의 회복 배경에는 모디 정부의 출범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 5월 총선에서 인도국민당(BJP)이 압승을 거두고 모디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경기 및 소비심리가 급속 회복됐다. 최근 유가하락은 원유수입의존도가 높은 인도의 물가안정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고 있다. 

모디 정부 역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각종 세제감면을 통해 소비부양에 나서고 있다. 전국민 계좌갖기 운동은 보조금 수급의 투명성을 높여 소비여력을 늘릴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적으로 동일한 부가가치세율이 적용되어 소비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 단일부가가치세(GST)는 2016년부터 도입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금리인하는 중앙은행이 결정할 문제이지만 재무부가 경기부양차원에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어 2015년초에는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내구재소비시장에 훈풍이 불면서 업체간 경쟁이 거세지고 있다. 지연됐던 소비가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교체될 것에 대비한 가전업체들의 신제품 출시가 빨라지고, 자동차 업계에서 신차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온라인 판매는 아직 오프라인 판매의 10% 수준이지만 새로운 판매양식으로 등장하고 있다. 인도 내구재 시장에 뛰어든 업체들이라면 일시적인 가격대응에 나서기 보다는 고성장지역을 타겟으로 삼고 제품혁신과 마케팅 강화 등 본질적 대응에 나서야 될 것이다. 
  

< 목 차 > 

1. 내구소비재 시장에 부는 훈풍
2. 2015년 인도 소비시장의 회복 배경
3. 모디 정부의 소비부양정책
4. 기회/위협요인
 
  

지난 2012~13년 저성장의 덫에 빠졌던 인도 소비시장이 2015년에 본격적으로 회복될 전망이다. 경제성장률이 4%대에서 2015년에는 6%대로 상향되고 물가불안이 해소되면서 소비수요가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지난 5월 총선에서 압도적 지지율로 당선된 인도국민당(BJP)의 모디 총리는 성장친화적인 경제개혁조치를 취하는 한편 중산층을 육성하여 소비회복의 발판을 세울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저성장 시기에 미뤄왔던 내구재 소비, 특히 자동차와 가전 등의 소비를 이번 경기회복기에 늘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2015년 인도에서는 거시경제의 회복, 정부의 정책의지, 소비자의 구매심리 회복 등이 어우러지면 기대 이상의 소비 붐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 내구소비재 시장에 부는 훈풍 
  

소비회복기의 강한 신호 나타나 

내구소비재 판매가 늘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 소비지표도 긍정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내구소비재를 포함한 총소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반등세가 뚜렷이 보인다. 지난 2013년 하반기에 소비는 2.8% 성장하면서 GDP 성장률보다도 낮았다. 이후 2014년 1분기에는 총선을 앞두고 소비심리가 호전되면서 소비는 전년동기대비 8.2% 늘어나는 급증세를 나타냈다. 지난 2분기에 소비증가세가 주춤해지기는 했지만 소비심리 개선 추세와 금리인하 기대 등을 감안하면 지난 2013년 하반기와 같은 침체 양상은 앞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부문에서 내구소비재를 따로 분리해서 보더라도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인도의 민간소비 규모는 2014년말에 1조 1,106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구소비재 시장은 인도 통계청 산하 NSSO(국가샘플서베이사무소) 통계를 감안하여 추정했을 때 민간소비의 4.9%에 해당하므로 약 543억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특징적인 사실은 도시에서는 기타 내구재-자동차-장신구 순으로 비중이 높은 반면 농촌은 기타 내구재-장신구-스쿠터 순서로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점이다. 이는 도농간의 소득격차에 따른 소비품목의 상이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인도의 내구소비재 소비는 규모를 감안할 때 그 자체로 소비증가율의 등락을 가져올 정도는 아니지만 자유재량(discretionary) 소비로서 시그널의 역할이 강하다. 소비침체기에는 내구소비재의 위축이 바로 따르고 확장기에는 반대로 내구소비재의 팽창을 목격하기 쉬운 것이다. 

도시 중심으로 빠른 회복세 

지난 1분기 소비확장기의 신호가 나타나면서 내구소비재 시장에도 빠르게 온기가 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 마켓리서치회사인 IMRB 자료에 의하면 지난 5~7월의 인도 FMCG(일용소비재, Fast Moving Consumer Good) 소비재 판매는 도시와 농촌에서 각각 8.0%, 1.0% 전년동기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지난 2013년 5~7월에 4% 감소했던 FMCG 소비가 1년만에 8% 증가세로 반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 소비가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도 경제일간지인 Economic Times 11월 21일자 기사에서는 도시지역에서 FMCG와 백색가전 판매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자레인지와 냉장고는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 2년간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판매회복의 기미는 일단 도시에서 엿보이고 있지만 농촌도 곧 뒤따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농촌은 작황의 영향을 받아 소비 변동성이 큰데, 북부 지역은 겨울작물(Rabi)의 작황이 좋아서 내년 봄에 소비여력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랜만에 가전시장이 활기를 띨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서 가전업체들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LG, 삼성, 월풀, 파나소닉, 비디오콘(인도), 고드라즈(인도) 등 거의 모든 가전업체들이 프리미엄급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 구매여력이 커지면서 교체수요는 프리미엄급에서 이뤄질 것임을 업체들이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업계도 지난 3년간(2011~2013년) 승용차 판매대수가 300만여대에서 제자리 걸음을 걸었지만 올해와 내년에는 사정이 호전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세일즈 마케팅 임원인 라케쉬 스리바스타바는 Economic Times와의 인터뷰에서 ‘2014년 상반기 실적이 호전됐고, 판매증가율은 7월에 12.7%, 8월 19.2%, 그리고 9월에도 14.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마루띠 역시 8월에만 매출이 29.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구매를 주저했던 소비자들이 신차구입을 결정하면서 사전예약대수가 늘어나, 현대 i20는 2만여대, 혼다의 모빌로는 1만 9천대, 그리고 타타의 제스트는 1만여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신용대출 늘면서 소비확대 기여 

개인신용대출(내구재 대상, 자동차 제외) 시장규모는 지난 4월말 기준 1,370억루피(2조 4,380억원)로 전년도 4월말의 860억루피에서 1.6배나 규모가 커졌다. 민간상업은행들(State Bank of India, Punjab National Bank, ICICI Bank, HDFC Bank, Axis Bank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비은행금융회사들도 일부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은행 금융회사들로는 Future그룹 소속 Future Capital과 삼륜차로 유명한 Bajaj그룹의 Bajaj Finserv 등이 있다. 

과거에 비해 신용정보 조회가 수월해진 데다 향후 대출금리까지 낮아지면 소비자 대출은 단시일내 크게 확대될 것이다. 더욱이 인도의 대출 대상제품은 TV,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PC, 이륜차, 자동차, 브랜드 가구, 소프트웨어, 도서, 교재 등을 망라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양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지난 2000년대 초반에도 소비자대출이 늘면서 백색가전의 보급률이 크게 늘어났던 바 있다. 예를 들어 지난 1999/2000년에 백색가전 시장이 18.9% 증가했을 때, 개인대출이 낀 백색가전 구입은 23.9%가 늘었다. 

물론 인도에서도 소비자대출은 지난 2007/08년에 된서리를 맞기도 했다. 대출기관들의 신용조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무보증 신용대출이 대거 부도 처리되면서 신용대출이 사라지다시피 했다. 최근에는 인도신용정보기구(Credit Information Bureau)의 실시간 신용조회가 가능해지면서 신용대출 시장이 활기를 띠게 된 것이다. 

인도의 소비자대출이 내구소비재 구입에 쓰이는 용도로 발달하는 것은 신용카드의 낮은 보급률과도 관련이 있다. 인도의 신용카드 보급갯수는 1,900만장에 불과하다. 따라서 신용카드가 없지만 소득증빙을 할 수 있는 소비자들은 내구재 구입을 위해 개인대출을 받는다. 

딜러나 제조업체들은 판매촉진을 위해 자사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에게 이자비용을 지불하는 등 편의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아예 그룹 소속의 금융회사가 소비자대출에 나서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타타그룹 소속의 Tata Capital(TCFSL)은 역시 그룹 소속 가전판매점인 Croma와 연계하여 소비자금융업에 나서고 있다. 즉 크로마에서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대출이 필요한 경우 타타 캐피탈을 이용하는 것이다. 랩톱은 3만루피까지, 스마트폰은 2만5천루피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다만 최대 대출한도는 소득증빙에 따라 50만루피(약 890만원)까지 늘어날 수도 있다. 
  

2. 2015년 인도 소비시장의 회복 배경 
  

본격 회복되는 인도 경제 

2015년 인도 경제의 가장 큰 호재는 성장세 회복과 물가안정이다. 인도경제의 최대 호황기였던 지난 2005~07년의 연평균 9.5%에는 못 미치지만, IMF 전망에 따르면 2015년에 6.4% 성장이 예상된다. 지난 2012년에 4.5%로 급락했던 성장률이 추세적으로 회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머징마켓과 ASEAN 5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과 비교해 보더라도 인도경제의 반등이 두드러진다.지난 2012년에 인도경제의 하락세가 다른 개도국에 비해 두드러졌지만, 2013~14년 개도국 경기가 하향세일 때 인도경제는 이미 회복세로 반전했다. 

인도경제는 2015년부터 6%대 성장세로 회복하고 잠재성장률인 7~8%대 성장률로 나아갈 전망이다. 일본 노무라증권은 인도경제가 고성장-저물가 시대(골디락스 ; Goldilocks)의 초입에 접어들었다는 낙관적 평가를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기도 하다. 노무라증권은 FY’16년(2015.4~2016.3) 인도경제 성장률에 대해서도 예측기관 가운데 가장 높은 6.8%로 전망했다. 

물가안정으로 구매력 상승 

인도 경제의 회복세에 더해 소비 측면에서 주목되는 호재는 물가안정이다. 인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불과 1년전만 해도 두자릿수대를 넘나들었다. 식료품 가격상승과 유가변동이 물가불안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왔는데, 반대로 최근 유가하락은 물가안정의 일등공신이 되고 있다. 지난 10월의 소비자물가는 5.5%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는 2011년부터 소비자물가지수가 집계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서 인도중앙은행(RBI)이 2016년초 목표치로 설정한 6.0%보다도 낮다. 

물가가 하락한 만큼 소비자의 실질구매력은 증가하기 마련이다. 두자릿수 소비자물가 시대에는 소비자들이 식료품값, 연료비, 주거비 등의 인상에 대비하여 불필요한 가계지출을 줄여야 했다. 반면 최근과 같이 6% 안팎의 물가인상이 정착되면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도 살아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가하락으로 인도의 휘발유 및 디젤유 가격도 하락하고 있어 그 동안 위축됐던 자동차 구매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델리의 휘발유 가격은 지난 2013년 9월 리터당 76.06루피에서 지난 12월 1일에는 63.33루피(약 1,132원)로 16.7% 하락했다. 휘발유보다 싼 디젤유 가격은 52.51루피(약 938원)를 기록, 불과 3개월 전인 8월말의 58.97에 비해서 11%나 떨어졌다. 지난 3년간 인도의 승용차 판매는 거의 정체 상태에 있었던 만큼 대형구매를 미뤄왔던 소비자들이 연료가격 하락에 고무될 것으로 예상된다. 

뚜렷해진 소비자심리 회복 

인도 소비자들은 2014년 5월 총선을 계기로 향후 경기회복에 대해 뚜렷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OECD에서 매월 발표하는 경기종합선행지수(CLI:Composite Leading Index)를 살펴보면 인도 경기의 저점 통과를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먼저 지난 2012년 하반기 이후 미국과 유럽(유로화 사용 18개국)의 경기심리는 상승세에 있음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성장둔화가 우려되는 중국의 경기선행지수는 등락이 있지만 지난 2년여 동안 변화가 없다. 

인도는 지난 2012년말부터 경기심리가 냉각되어 2013년 10월에는 저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이 4%대로 추락한 것과 괘를 같이 한다. 이후 2014년 5월 총선과 정권교체에 대한 기대가 형성되면서 인도의 경기심리는 뚜렷한 상향세로 반전됐다. 지난 3월부터는 인도 데이터가 발표되고 있지 않지만 적어도 총선 이후인 7~8월까지 선행지수는 상향 곡선을 그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의 인도 소비자심리 상황은 인도중앙은행(RBI)의 서베이 자료에서 알 수 있다. RBI의 소비자신뢰도 서베이는 인도 내 6개 대도시(벵갈루루,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콜카타, 뭄바이, 뉴델리)에서 분기별로 실시된다. 지난 8월에 행해졌던 20차 서베이는 전국의 5,200명을 대상으로 행해졌다. 

지난 2013년 3분기에 저점을 기록했던 소비자신뢰지수는 이후 빠르게 회복되는 양상이다. 2014년 3분기에는 현상황지수(CSI : Current Situation Index)가 105를 기록, 고점대비 90%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 경기상황을 반영한 미래기대지수(FEI : Future Expectations Index)는 지난 3분기에 123.3으로 2010년 4분기에 지표가 만들어진 이후 최고점을 기록했다. 미래 가계상황에 대해서 응답자의 58.1%는 나아질 것으로 보았으며, 악화될 것이라는 비율은 11.7%에 그쳤다. 

주요품목별 지출의사에 대해서 ‘예’라고 응답한 비율은 자동차 및 내구재에서 전분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동차에 비해 지출 규모가 작은 내구재의 경우에는 3분기에 지출의사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36.8%로 1분기보다 16.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에 내구재 소비가 늘어날 것임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인도 중앙은행의 자료 이외에도 닐센(Nielsen)의 글로벌 소비자 서베이나 호주계 은행인 ANZ-Roy Morgan의 서베이에서도 인도 소비심리의 회복세가 쉽게 확인된다. 닐센이 60개국의 3만명 대상으로 실시하는 분기별 소비자신뢰 서베이에서 인도는 126을 기록, 글로벌 평균인 98을 크게 앞서면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닐센 지수에서 100이상이면 낙관적인 상황으로 평가된다. 
  

3. 모디 정부의 소비부양정책 
  

모디 정부 중산층 육성 박차 

경기심리와 소비심리를 측정하는 것은 주로 설문조사에 의존하는 바가 크므로 당시 사회경제 분위기에 의존하는 측면이 강하다. 인도에서 지난 5월 총선을 전후하여 정권 교체와 신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는 점에서 소비심리 회복이 과도하게 평가됐을 가능성이 있기도 하다. 모디 정부도 이러한 국민적 기대에 대해 분명히 부담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출범 이후 중산층 육성과 소비수요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펼치고 있다. 

우선 중산층에 대한 세제감면 조치가 눈에 띈다. 모디 집권 이후인 7월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시행되는 중간예산안(Interim Budget)에서 개인소득세 면세기준점이 상향됐다. 기존 면세기준 소득인 연소득 20만루피(약 356만원)가 25만루피(445만원)로 상향되었다(60세 미만 납세자의 경우). 또한 60세 이상은 면세기준이 30만루피로 책정되어 더욱 혜택을 받는 셈이 됐다. 인도의 국가응용경제연구위원회(NCAER)는 중산층을 20만~100만 루피의 소득계층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새로이 중산층으로 편입되는 소득세 납세자는 높아진 면세점으로 세부담이 없어지고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인도 정부는 이러한 면세기준 상향 조치로 약 2천만명의 납세자(신규 납세자 포함)들이 면세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추산한다. 

다만 대규모 재정감소를 우려하여 소득세율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소득 25만루피 초과 50만루피까지 10%, 50만루피 초과 100만루피까지는 20%의 소득세율이 적용된다. 최고 세율은 30%로서 100만루피(1,780만원) 이상의 소득계층에 적용된다. 

다음 회계연도(2015년 4월 1일~2016년 3월 31일)에도 면세점이 30만루피로 추가 상향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신흥 중산층의 가처분소득을 늘려 소비를 부양하기 위한 조치라는 메시지가 즉각적으로 보여질 것이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가 면세점 상향을 세율인하보다 선호하는 것은 세수확보 차원에서 당연시된다. 인도의 개인소득세 납세자는 지난 2012년 기준 총인구의 2.89%에 불과한 3,600만명에 불과하다. 미국의 납세자가 전체 인구의 45%인 것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더욱이 연소득 50만루피 이하 납세자 수는 89%를 차지하지만 세수 기여분은 10%에 불과하다. 연간 50만루피 이상을 버는 납세자 357만명이 전체 세수의 90%를 책임지는 기형적 구조이다. 따라서 면세점이 상향되면 세수 감소폭은 작은 대신 상대적으로 소비성향이 강한 중산층의 소비를 늘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비수요 회복을 위한 감세조치 

모디 예산안의 또 다른 변화는 주택과 내구소비재 구입과 관련된 세제감면의 확대이다. 중산층의 자가 주택 구입과정에서 발생한 대출금 이자에 대한 세금공제한도를 15만루피에서 20만루피로 상향했다. 신규 주택 구입자와 주택시장에 반가운 소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몇몇 내구재 산업에 대해서는 관세(custom duty) 및 개별소비세(excise duty) 감면이 이뤄지면서 제조업체의 비용부담이 낮아지고 소비활성화로 이어지게 하려는 정부의 의도가 드러났다. 예를 들어 브라운관 컬러TV(CRT TV)에 대해서 관세를 완전 면제했으며 19인치 이하 LCD TV에 대한 관세도 인하했다. 주 소비자층인 서민들의 지출 부담을 경감하려는 조치이다. 

이 밖에도 신발류에 대한 개별소비세는 12%에서 6%로 절반 수준까지 줄였으며, 자동차 개별소비세도 지난 6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했던 인하 조치를 연말까지 유예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경차, 오토바이, 스쿠터, 상용차 등에는 기존 12%가 아닌 8%의 개별소비세율이 적용 중이다. 자동차업계는 개별소비세 인하조치가 2015년에도 이어져야지만 자동차 판매 불황에서 벗어날 것이라며 정부에 인하조치 연장을 건의하고 있다. 

문제는 역시 재정손실이다. 모디 정부는 7월 예산안에서 제시된 세금감면 조치들로 인해 직접세수 손실은 2,220억루피, 간접세 손실은 752억 5천만루피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전체 세수입인 13조 6,452억루피의 2.2%에 해당되는 액수이다. 인도 정부가 세수입이 넉넉치 않은 형편임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규모의 감면조치들을 내놓는 이유는 뚜렷하다. 이를 통해 중산층 유권자들의 지지를 확대하는 한편 이제 회복 기미를 보이는 경기와 소비에 대한 자극제 역할을 기대하는 것이다. 

단일 부가가치세(GST) 도입 기대 

매해 예산안에서 손질되는 감세정책에 비해 보다 장기적이고 경제 파급력이 큰 모디 정권의 정책 변화는 단일 부가가치세에 해당하는 ‘재화 및 서비스세(GST : Goods and Service Tax)’의 도입이 될 전망이다. 현재 주마다 상이한 부가가치세율을 12%의 단일세율로 통합하여 기업과 소비자에게 세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주자는 취지이다. GST 도입은 자동차 및 가전을 위시한 산업계의 공통적 희망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세수가 줄어드는 주정부의 반대로 인해 수년째 채택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모디 정부는 현재 진행중인 하원의 겨울 회기에 GST 정부안을 제출할 계획인데, 이에 따르면 오는 2016년 4월 1일부터 GST가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모디 총리가 소속된 인도국민당(BJP)이 하원의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여 하원 통과는 가능하더라도 문제는 상원 통과이다. 이제 야당이 된 국민의회당(INC)의 UPA연합이 상원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GST 도입에는 2015년의 준비기간이 설정되어 검토기간이 충분하다는 점과 모디 경제개혁의 시금석이 된다는 사실을 부각시키면 야당이 무조건 반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소비부양 위해 금리인하 지지 

일반적으로 세제감면이나 재정완화가 소비를 늘리고 경기부양에 긍정적이지만 인도의 경우라면 곧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인도는 지난 2009/10년에 미국발 금융위기를 극복하고자 재정완화에 나선 결과 GDP 대비 6.5%의 과도한 재정적자를 떠안았던 바 있다. 이후 인도는 과도한 재정적자로 인해 국제신용평가기관들로부터 신뢰를 잃게 됐다. 

전임 UPA 2기 정권은 지난 2012년부터 재정적자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그 결과 2013/14년에는 재정적자는 GDP 대비 4.5%로 감소했다. 모디 정부도 2014/15년 중간예산에서 재정적자/GDP 목표를 4.1%로 더욱 낮춰 잡았다. 문제는 현재 세수와 세출 추이로 봐서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점이다. 세수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예산집행률은 4~10월의 6개월 동안에만 연간목표 대비 83%에 달했다. 

따라서 모디 정부는 소비부양을 위한 재정확대보다는 금리인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만 금리는 인도중앙은행(RBI)이 독립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재무부는 조언하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현재 8.0%에 달하는 기준금리는 11개월째 요지부동이다. 

지난 12월 2일 인도중앙은행의 금리결정회의를 앞두고 아룬 자이틀리 재무장관은 라구람 라잔 중앙은행 총재를 면담하고 이례적으로 금리인하를 요구했다. 재정부담 없이 경기와 소비를 부양할 수 있는 최선의 방책으로서 금리인하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지난 3분기(7~9월) 경제성장률이 5.3%로 전분기의 5.7%보다 낮아졌던 것도 재무장관의 금리 개입을 촉발했다고 볼 수 있다. 

산업계도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인하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금융조달비용이 높으니 자연히 원가 부담이 커지고 제품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판매가 부진해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중앙은행의 신중한 금리동결 조치는 12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물가안정이 지속되느냐가 관건인데 현재 분위기대로라면 늦어도 오는 2015년 1분기에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가 늘어나고 경기회복에 가속도가 붙게 될 것이다. 고용이 늘고 가처분소득이 늘게 되면서 소비는 자연스럽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리인하는 소비자대출에 적용되는 금리를 낮춰서 내구소비재의 할부구매를 늘릴 수 있을 전망이다. 

전국민 계좌갖기 운동과 연계 

금리인하와 같은 호재성 재료가 전체 경제에 골고루 효과를 미치기 위해서 국민들의 금융 노출도가 커져야 한다. 인도는 전체 가구 가운데 계좌보유비율이 57.8%에 불과할 정도로 아직 갈 길이 먼상태이다. 지난 2013년 11월말 기준 인도 가계대출잔액은 9조 8,438억루피로 GDP 대비 8.9%에 불과하다. 웬만해서는 인도에서 가계발 금융위기가 오기 힘든 구조이다. 

이런 금융의 미발달이 소비가 늘어날 여지를 막는 요인이 된다. 인도에서는 저소득 개도국에서 비싸지 않은 내구소비재 구입 조차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소비자 입장에서 대출로 인해 이자비용을 부담하기는 하지만 즉시 물건을 구입할 수 있어 이득을 본다고 할 수 있다. 개인대출을 통한 내구소비재 구입은 제조업체-금융기관-소비자가 모두 혜택을 보는 시스템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선결조건은 인도인들의 은행계좌 갖기이다. 인도에서 ‘은행계좌 갖기’는 파이낸셜 인클루전(Financial Inclusion) 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금융활동에서 소외된 국민이 없게 하자는 취지이다. 직접적으로는 정부 보조금 지급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위해서도 계좌 갖기가 필요하다. 앞으로 모디 정부는 식량, 비료 등에 대한 보조금을 수급자의 통장에 현금으로 입금하여 부조리를 사전에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수급자들은 통장에 입금되는 보조금을 식량 소비 외에 내구재 구입 등에 쉽게 쓰게 되면서 소비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도 쿠폰 방식으로 지급되는 정부 보조금을 현금화하여 다른 소비에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모디 정부의 금융캠페인 아래 지난 11월 28일까지 새로이 8,262만개의 은행계좌가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15년 1월 26일까지 1억개 계좌 개설이 목표인데 지금 추세대로라면 달성하기 어려운 미션은 아닐 것이다. 다만 시행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밀어붙이기식 추진이라는 것이다. 휴면계좌로 가기 십상인 잔고 0원인 계좌 수가 무려 6,173만개로 전체의 74.7%에 해당된다. 전체 계좌 잔고액은 645억루피이며, 이를 입금액이 있는 계좌수로 나눠보면 계좌당 평균 잔고는 3,090루피(약 5만 5천원)에 불과하다. 
  

4. 기회/위협요인 
  

모디 2년차 인도 시장의 파이 커질 전망 

여러가지 소비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게 되면 모디 신정부 출범 2년차를 맞는 2015년에 인도는 과거와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모디 정부는 성장친화 정책을 바탕에 두고 사업환경 개선 의지와 미래 비전을 뚜렷이 하고 있다. 외국 기업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현재 1억명에 달하는 중산층이 계속 성장하면서 가처분소득이 늘고 자유재량(Discretionary) 소비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교육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내구소비재의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화에 따른 교체주기가 빨라지면서 핸드폰이 2년마다 바뀌는 것은 물론이고 TV, PC 등에서도 업그레이드 수요가 많아질 전망이다. 

물론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 호재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연히 업체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인도 로컬업체들은 모디정부의 ‘Make in India’의 기치 아래 한국기업을 포함한 선진기업의 기술력과 판매스킬을 따라 잡고자 분투 중이다. 예를 들어 인도 Mirc Electronics사는 Onida 단일브랜드를 갖고 가전시장의 리더가 되겠다고 나섰다. 젊은 인구층을 겨냥하고 향후 5년내 스마트홈 시장을 석권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인도 마이크로맥스는 저가폰이지만 물량면에서 인도 점유율 1위를 차지하겠다고 선언하고 나섰다. 

한편 새로운 판매양식인 e-커머스의 발달은 내구소비재업체, 특히 가전업체들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제조업체가 독자적 판매사이트를 개설하여 대항하거나 기존 온라인업체들과 제휴하는 것이다. 현지업체인 고드라즈와 비디오콘은 온라인판매 최대 현지업체인 플립카르트(Flipkart)와 제휴하여 판매에 나서고 있다. 이에 비해 파나소닉이나 월풀은 독자적인 온라인 판매사이트를 구축할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프라인 소매업체들은 온라인업체들의 저가격 공세에 반발하고 있지만, 온라인 소매시장의 확대를 막기 어려울 전망이다. 아직까지 온라인 소매시장은 오프라인 시장의 10% 정도에 불과하지만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결국 인도 내구소비재 시장의 커지는 파이를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서 업체들은 근본으로 돌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품혁신과 연구개발에 자원투입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하며, 제값을 받을 수 있는 마케팅과 사후 제품서비스 등에 힘써야 할 것이다. 

지역별 상이한 성장세 고려해서 진출할 필요 

인도가 소비확장기라고 해서 진출 지역을 한꺼번에 너무 넓게 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분명히 내구소비재 부문에서 소비의 맹아가 싹트고 있지만 전국에 같은 속도로 뿌리를 내리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인도에는 29개주가 존재하며, 도시(소도시 포함) 수는 7,935개에 이른다. 광대한 시장이기에 지역별로 성장속도의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외국기업 입장에서는 이왕이면 성장이 빠른 지역, 대도시 위주로 공략할 필요가 크다. 

먼저 고성장 지역은 델리 북쪽 히마찰프라데시, 우타르칸드 2개 주와 서쪽의 하리아나 주, 서부의 구자라트, 마하라쉬트라 2개 주, 그리고 동부의 안드라프라데시(지금은 시만드라와 텔랑가나로 분리), 마지막으로 남부의 타밀나두, 케랄라 2개 주 등 모두 9개 주에 해당된다. 이들 지역은 인도 평균보다 1.2~2배의 성장세가 예상되는 만큼 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필요가 많다. 중부에 걸쳐 있는 라자스탄, 마드야프라데시, 차티스가르, 오디사 등 4개주, 북부 펀잡과 잠무 카슈무르 2개주, 그리고 동부의 웨스트벵갈주, 서부의 카르나타카주 등 8개주는 인도 평균과 비슷한 성장세가 점쳐지는 곳이다. 

대도시는 배후도시들을 합해 클러스터를 형성하면서 성장에 있어 핵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McKinsey Global Institute의 한 보고서는 오는 2025년까지 인도에 인구 1백만명 이상의 대도시는 약 70개가 등장하고, 이 가운데 50개 대도시는 클러스터를 만들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내구재 업체들은 향후 소비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도시들에서 사업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미리 미리 사업거점을 마련해 두어야 할 것이다.  <끝> 
사업자 정보 표시
(주)부동산중개법인이산 | 박우열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지하1층 69호(삼창빌딩) | 사업자 등록번호 : 528-88-00035 | TEL : 010-3777-1342 | Mail : 1004kpwy@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해당사항없음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