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북경 상해 서울 20대의 가치관 비교'
중국 20대는 한국 20대에 비해 미래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도전하는 삶에 대한 선호도 강했다. 도시별로는 상해가 북경보다 높았고, 서울이 가장 낮았다. 중국 20대는 사람에 대한 신뢰도가 높으며, 세계화에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집단주의 성향은 더 높으며,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도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한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주역이다. 세계 거대 소비 시장으로 부상하는 중국의 20대가 가진 가치관은 현재의 중국뿐만 아니라 미래의 중국을 보는 창이다. 소비자로서만이 아니라 중국에 진출하는 기업에게 이들은 함께 가야 할 구성원이기도 하다. 이들의 역량을 이끌어내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생각을 이해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중국 20대는 ‘주링허우(九零後)’라고 불린다. 그들은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생활 습관으로 중국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1979년부터 실시된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인해, 그들은 외동으로서 소황제, 소공주 대우를 받으며 자랐다. 경제 성장의 혜택을 누리며 자라 소비지향적이고, 외국 문화에 개방적이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20대의 가치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세계 50여 회원국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글로벌 종합사회조사(GSS: General Social Survey) 중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국가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와 EASS(East Asia Social Survey)의 원자료(Raw data)를 분석하였다. 설문 항목 중 의미가 큰 설문을 개인, 가정, 대인관계, 사회, 세계 등 5개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유사 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이해를 위하여, 한국 20대와 중국 20대의 가치관을 비교하였으며, 중국 내에서도 전체 세대와 비교하여 20대에서 독특하게 드러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주요 도시별로 결과를 세분하여 중국의 정치 중심지인 북경과 경제 중심지인 상해, 그리고 한국의 서울을 살펴보았다.
미래에 대한 기대와 성공의 요인
● 상해 20대가 미래에 가장 낙관적
미래에 대한 기대와 도전하는 삶에 대한 선호는 중국 20대가 한국 20대보다 더 강했고 중국의 다른 세대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미래는 희망적이다’에 대한 긍정 응답률은 중국의 20대(85%)가 중국의 전세대(이하 ‘중국 전체’)(72%)와 한국 20대(81%)에 비해 높았다. 도시별로 보면 상해(91%), 북경(84%), 서울(77%) 순으로 상해가 가장 높았다. ‘평범한 삶보다 도전과 기회로 가득 찬 삶이 바람직하다’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중국 20대(60%)가 중국 전체(53%), 한국 20대(51%)에 비해 높았다. 도시별로는 상해(77%), 북경(57%), 서울(50%) 순으로 나타났다.
인생에서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양국의 20대는 공통적으로 개인의 ‘노력’(중국 97%, 한국 98%)과 ‘야망’(중국 97%, 한국 96%)이라고 응답했다. ‘부모의 재력’이라는 응답도 많았는데, 전세계 27개국 중 중국 20대가 1위(86%), 한국 20대가 3위(81%)를 기록했다. 양국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요인은 ‘부모의 학력’(중국 94%, 한국 65%)과 ‘정치적 인맥’(중국 83%, 한국 66%)이었다.
인생의 성공을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부모의 재력과 같은 환경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인식은 양국이 공통적이었다. 그러나 중국에 비해 경제 성장 추세가 둔화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20대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혼·남여 성 역할·육아
● 결혼에 대해 북경이 긍정적, 상해가 부정적
양국 공통적으로 결혼을 하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한 사람이 더 행복하다’라는 문항에 대한 긍정 응답률은 중국 20대(44%)가 한국 20대(45%)와 비슷했으나, 중국 전체(53%)에 비해서는 낮았다. 도시별 차이는 컸다. 상해(22%)가 북경(53%)과 서울(48%)에 비해 크게 낮았다. 중국 내에서도 결혼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혼에 대해 중국 20대와 한국 20대는 상당히 다른 반응을 보였다. ‘부부 사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이혼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다’라는 문항에 중국 20대는 47%가 동의한 반면, 한국 20대는 24%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도시별로는 상해가 이혼에 가장 개방적이었고, 서울이 보수적이었다.
반면 동거에 대해서는 중국 20대가 한국 20대에 비해 보수적이었다. ‘결혼할 의도가 없이 함께 사는 것도 괜찮다’는 문항에 서울 56%, 북경 39%, 상해 33%로 특히 한국과 중국의 도시별 차이가 컸다.
●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북경이 가장 높고 상해와 서울이 비슷
경제가 성장하면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하면서 성 역할도 변하는 경향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중국 20대는 중국의 기성 세대보다는 덜하지만 한국 20대보다는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강하고, 가부장적인 문화를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역할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성이 할 일은 가정과 가족을 돌보는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중은 중국 20대가 39%로 한국 20대의 16%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중국 전체는 45% 수준이었다. 중국 내에서도 상해(19%)보다 북경(35%)이 더 높았다. 서울 20대는 한국 20대 평균보다 낮은 10% 수준에 그쳤다.
집안일의 가치도 중국 20대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집안일을 전업으로 하는 것도 보수를 받고 일하는 것만큼 가치 있다’라는 문항에 한국 20대는 72%가 긍정적으로 답한 반면 중국 20대는 52%에 그쳤고, 중국 전체(53%)와 유사했다. 도시별로는 상해가 35%로 가장 낮았고, 북경 41%, 서울 78% 순으로 높았다.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는 어느 정도 존중되어야 한다’는 가부장제에 대한 인식은 중국 20대가 약간 높기는 하지만 도시별로는 상당히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 중국 20대에게 육아는 삶의 큰 기쁨
중국 20대는 한국 20대보다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은 덜 느끼는 반면, 이상적인 자녀 수에 대해서는 한국 20대가 평균 2.4명으로 중국 20대의 평균 1.8명보다 더 많았다.
‘육아가 삶의 가장 큰 기쁨’이라는 인식은 중국 20대가 96%로 매우 높고 중국 전체(97%)와 유사한 반면, 한국 20대는 65%에 그쳤다. 원인을 살펴보면, ‘자녀가 부모의 자유로운 생활을 제한한다’는 인식은 한국 54%, 중국 55%로 유사했지만, ‘경제적 부담’(한국 49%, 중국 37%)과 ‘경력 기회 상실’(한국 54%, 중국 34%)에 대한 부담을 한국 20대가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인 자녀 수’를 보면, 중국 20대는 ‘2명’(76%)이 가장 많았다. 중국은 2014년부터 부부 가운데 한 명이 독자(獨子)이면 두 자녀까지 낳을 수 있도록 한 ‘제한적 두 자녀 정책’을 도입하였다. 설문 조사 시점인 2012년에는 ‘한 자녀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책적인 제한을 넘어 최소 두 명은 낳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 20대는 ‘2명’(57%)이 가장 많았으나 ‘3명’(29%), ‘4명 이상’(10%)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응답 결과와 대조적으로 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2014년 합계출산율 1.25명, 조사 대상 224개국 중 219위)을 기록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에서 2005년 이후 10년째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 20대는 향후 자녀를 많이 낳고 싶은 욕구는 있지만 육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과 육아와 직업 생활을 병행하기 어려운 여건 등을 걸림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인관계
● 사람에 대한 신뢰는 상해가 가장 높고 서울이 가장 낮아
사람이 선천적으로 선한지, 악한지에 대한 논쟁은 오랜 기간 동안 이어져왔다. 사람에 대해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라고 생각하는 비중은 중국 20대가 72%로 중국 전체(76%)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한국 20대(50%)보다는 높았다.
중국 20대는 타인에 대한 신뢰가 높았다. 사람들을 얼마나 신뢰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중국 20대 78%, 한국 20대 38%로 한국에 비해 크게 높았고, 도시별로도 상해와 북경이 높았다(상해 83%, 북경 76%, 서울 27%). 대상별로 보면, 중국 20대는 친척(96%), 친구(91%), 동료·이웃(74%) 순으로 신뢰 수준이 높았다. 한국 20대는 친구(98%), 친척(85%), 동료(60%), 이웃(51%) 순이었다. 중국 20대는 다른 대상에 비해 친척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다.
중국 20대는 이웃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이웃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인식은 중국 20대가 88%로 중국 전체(93%)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으나 한국 20대(34%)에 비해서는 크게 높았다. 북경은 76%, 상해는 78%로 유사했고 서울은 43%에 불과했다. ‘이웃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응답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중국 20대가 80%로 중국 전체(89%)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한국 20대(42%) 보다 두 배 높았다. 도시별로는 차이가 다소 감소했는데, 북경이 61%, 상해가 62%로 중국 평균 대비 낮았고, 서울은 54%로 한국 평균 대비 높았다.
개인주의 및 사회 형평성에 대한 인식
● 상해가 집단주의 및 연고주의 성향 높아
전반적으로 중국 20대는 한국 20대보다 권위주의, 집단주의, 연고주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북경보다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상해가 권위주의, 집단주의 성향도 높은 의외의 결과를 보였다.
‘능력 있는 지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편이 낫다’라는 권위주의 성향을 묻는 문항에 중국 20대는 65%가 동의하여 한국 20대(33%)보다는 두 배 높았다. 중국 내에서도 상해는 87%로 43%인 북경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았다.
‘자기 생각과 다르더라도 다수의 의견에 반대하면 안 된다’라는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중국 20대(68%)가 한국 20대(54%)보다 많았다. 도시별 결과는 상해가 53%로 가장 높았고, 북경과 서울은 48%로 같았다. ‘사람들과 원만하게 지내려면 그 사람들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도 중국 20대는 69%, 한국 20대는 51%로 중국이 높았다. 마찬가지로 상해가 64%로 가장 높았고 북경 57%, 서울 50%로 뒤를 이었다.
‘실력이 좋아도 모르는 사람보다 친척이나 친구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낫다’는 연고주의 성향을 묻는 질문에 중국 20대는 53%가 동의한 반면 한국 20대는 18%에 불과했다. 북경과 상해의 격차가 컸는데, 북경은 29%만이 동의한 반면, 상해는 73%가 동의했다. ‘동향 사람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 자부심을 느낄 것이다’라는 문항에 대한 긍정 응답률은 중국 20대는 77%로 높았고 중국 전체(79%)와 유사한 반면, 한국 20대는 56%에 그쳤다. 북경과 상해는 중국 평균과 유사했으며, 서울은 44%로 한국 평균보다 낮았다.
성과에 따른 보상에 대한 인식은 양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소득을 결정하는데, 일을 잘하는 지가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중국 20대는 92%, 한국 20대는 99%가 동의했다. 상해가 97%, 북경이 90%였고, 서울은 100%가 동의했다.
● 한국의 젊은이가 불평등, 집단 갈등에 대해 더 심각하게 인식
중국과 한국 20대 모두 양극화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 계층 간에 소득 격차가 너무 크다’는 문항에 공통적으로 92%의 응답자들이 동의했다. ‘소득 격차 해소를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도 중국 20대 78%, 한국 20대 79%로 유사했다. 반면 ‘정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중국 20대의 50%가 동의한 반면 한국 20대는 10%만이 동의했다. 북경은 30%, 상해는 80%로 중국 내에서도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의 역할에 인식의 차이가 컸다.
중국 20대는 사회 지도층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회 지도층이 되기 위해서는 부패할 수 밖에 없다’라는 문항에 한국 20대는 57%가 동의한 반면 중국 20대는 32%에 그쳤다. 특히, 북경과 서울은 차이가 큰데, 북경은 5%, 서울은 57%로 10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중국 20대는 교육 기회도 비교적 공정하게 주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학 진학 기회가 사회적 배경에 관계 없이 공평하게 주어진다’라는 문항에 중국 20대는 75%가 동의했고, 한국 20대는 48%만이 동의했다. ‘대학 교육 비용 부담’에 대한 인식도 중국이 낮았다. 중국 20대 42%, 한국 20대 48% 수준이었고, 도시별로 보면 북경 29%, 상해 40%였고, 서울이 56%로 가장 높았다.
중국 20대는 집단 간 갈등도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갈등’의 경우 중국 20대 72%, 한국 20대 86%였고, 도시별로는 북경 53%, 상해 73%, 서울 87%였다. ‘노사 갈등’의 경우 중국 20대가 55%인 반면, 한국 20대는 95%가 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도시별로는 서울(98%), 상해(63%), 북경(38%) 순으로 나타났다.
세계화와 외국인에 대한 수용도
● 세계화에 대한 긍정 인식은 북경이 가장 높고, 자국 이익 중심주의는 상해가 가장 강해
중국인들은 한국인보다 세계화에 긍정적이었다. ‘세계화에 따른 사람과 자본의 이동이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문항에 중국 20대는 88%, 중국 전체는 87%가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 한국 20대는 69%였다. 북경이 95%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75%, 상해가 71%로 차이가 컸다. ‘세계화에 따른 사람과 자본의 이동이 근로자들의 취업 기회에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 중국 20대 76%, 중국 전체 78%, 한국 20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44%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북경 91%, 상해 54%, 서울 36%로 도시간 격차도 컸다.
중국 20대는 자국의 이익을 중시해야 한다는 인식도 높았다. ‘다른 나라와 갈등을 빚더라도 자국의 이익을 중시해야 한다’는 문항에 중국 20대와 중국 전체는 84%가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며 한국 20대는 52%에 머물렀다. 도시별로 보면, 상해 81%, 북경 72%, 서울 40%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20대는 외국인에 대한 수용도가 더 낮았다. ‘동료로서 외국인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상해가 30%로 가장 낮았고, 북경이 60%, 서울이 82%로 가장 높았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 20대는 대만인(67%), 한국인(54%), 유럽인(53%), 동남아인(50%), 북미인(46%), 일본인(38%) 순으로 대만인에 대한 수용도가 가장 높았다. 한국 20대의 경우, 유럽인(91%), 북미인(89%), 일본인(88%), 대만인(82%), 동남아인•중국인(77%) 순으로 유럽인에 대한 수용도가 가장 높았다. 중국 20대는 한국인에 대한 상대적인 수용도가 2위로 높았으나 한국 20대의 중국인에 대한 상대적인 수용도는 낮았다. 그러나 절대적인 수치는 한국인의 중국인에 대한 수용도(77%)가 중국인의 한국인에 대한 수용도(54%)보다 높았다.
중국 20대는 한국 20대에 비해 미래에 희망적이며, 도전하는 삶에 대한 선호도 높았다. 자국의 이익을 중시하는 동시에 세계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꾸준하게 성장세를 이어온 경제 상황과 세계를 향한 개혁개방을 통해 실리를 추구해나가고 있는 중국의 모습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예상과 같이 중국 20대는 30대 이상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같은 유교 문화권에 속해 있다고 해도 한국과 중국 20대의 가치관은 차이를 보인다. 중국은 영토가 광대한 만큼 도시별 차이도 컸다. 중국이라는 한 나라 안에 여러 나라가 있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중국인들의 사고방식과 사회문화적인 특성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상해는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태도와 도전적인 삶에 대한 선호가 강했으며, 양극화와 사회 계층 간 갈등도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양성 평등 의식이 높고 반드시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인식도 높지 않아 성 역할이나 결혼에 대해서는 북경에 비해 서구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권위주의와 연고주의 성향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북경은 상해에 비해 권위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이 낮게 나타난 반면, 세계화에 개방적이며 외국인 수용도도 높았다.
인사 관리 측면에서도 중국 20대를 이해하는 일은 중요하다. 한국에서도 Y세대라는 신세대 직원이 인사의 주요 관심사인데, 중국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중국인과 한국인의 차이를 포함한 중국 신세대의 특성에 대해서도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 20대는 자국의 이익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도전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집단주의적인 성향은 높게 나타나는 등 한국 20대와는 사뭇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끝>
'■ 경제보고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하반기 경제전망, 연간 경제성장률 2% 중반으로 둔화 (0) | 2015.07.13 |
---|---|
◎혁신을 촉진하는 이유 있는 고집 (0) | 2015.07.10 |
◎세계가 Next China 찾을 때 중국은 ‘진정한 세계의 공장’ 꿈꾼다 (0) | 2015.07.06 |
◎수출에 대한 원고 압박, 이미 위험 수위 (0) | 2015.07.02 |
◎부활하는 파나소닉, 성역 허물고 본업 바꿨다 (0) | 2015.06.30 |